신종코로나 6개월 이상 가면 부산 제조기업 67%는 한계상황 직면
부산지역 제조기업 상당수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되면 한계기업으로 전락할 수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와 대책이 시급해 보인다.
부산상공회의소는 주요 제조업체 200곳을 대상으로 한 ‘코로나19에 따른 제조업 비상경영 현황’을 조사해 12일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신종코로나로 인한 현재 상황이 지속한다면 3개월 이상 버티기 어렵다고 응답한 기업이 34.5%에 달했다. 나아가 신종코로나 영향이 향후 6개월 이상 지속되면 전체 3분의 2에 달하는 67%가 한계기업으로 내몰릴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1년 이상 현 상황이 지속되어도 감내할 수 있다고 응답한 기업은 33%에 그쳤다.
업종별로는 자동차부품과 석유 관련 기업, 의복과 전자·통신장비 등의 업종에서 어려움이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확인됐다.
코로나19로 인해 현재 비상경영 대책을 시행 중이거나 검토 중인 기업은 49%였다.
가장 많이 선택한 비상경영 대책으로는 생산 축소가 55.4%로 가장 많았다. 이어 고용 조정 16%, 현금 유동성 확보 14.5%, 투자축소 8.3%, 감염확산 방지 노력 5.8% 순이다.
생산 축소 세부 방안은 공장가동 축소가 28.3%로 가장 많았고 연장근무 제한 20%, 연차 독려 16.1%, 단축 근무 16.1%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또 고용 조정을 선택한 기업의 경우 휴직이나 채용 축소 등을 통한 고용 유지에 초점을 맞춘 곳이 많았다.
포스트 코로나를 대비한 최우선 경영전략으로는 경영 손실을 만회하기 위한 생산 증대와 공급망 다변화를 가장 많이 고려하고 있었다.
부산상의 관계자는 “제조업은 고용 안정의 버팀목인 만큼 정책 당국의 철저한 대비와 지원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말했다. 박진우기자 iory8274@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