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 강선우 여가부장관 임명 초읽기

2025-07-23     김두수 기자

이재명 대통령이 이른바 갑질 논란이 증폭되고 있는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 경과보고서를 24일까지 보내달라고 요청했다. 이에 따라 여론의 역풍 우려에도 불구하고 강 장관 후보자 임명이 사실상 초읽기에 돌입했다는 관측이 여권 내부에서 나온다.

이 대통령은 또한 강 후보자 외에 안규백 국방부·권오을 국가보훈부·정동영 통일부 장관 후보자 등 3명에 대해서도 인사청문 경과보고서 송부를 요청했다.

강유정 대변인은 22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브리핑에서 “금주 내 임명을 마무리하고 신속한 국정 안정을 꾀하기 위해 기한은 24일로 요청했다. 인사청문회법에서 규정하는 재요청 기간, 과거 사례, 국방부와 보훈부의 요청 기한이 26일까지라는 점을 고려해 기한을 정했다”고 전했다.

인사청문회법에 따르면 대통령은 국회에서 기한 내 인사청문보고서 채택이 불발된 경우 10일 이내로 기간을 정해 청문보고서 재송부를 요청할 수 있다.

인수위 없이 정부가 출범해 ‘동거 내각’으로 국정을 운영한 지 50일이 다 돼 가는 만큼 새 정부를 신속히 꾸리겠다는 의지를 담아 기한을 짧게 한 것으로 보인다.

이에 이 대통령은 이르면 25일 이들 4명의 후보자에 대한 임명을 강행할 전망이다.

특히, ‘갑질 논란’으로 야당의 집중포화를 받아 온 강 후보자의 경우 빨리 업무에 들어가도록 함으로써 여진 장기화를 차단하겠다는 의도도 깔린 것으로 풀이된다.

이런 가운데 이재명 정부의 집권 초반 인사를 둘러싸고 잡음이 이어지면서 대통령실의 고심이 깊어지고 있다.

이진숙 전 교육부 장관 후보자의 논문 표절 의혹과 강 장관 후보자의 갑질 의혹이 불거진 데 이어 강준욱 대통령실 국민통합비서관의 비상계엄 옹호 전력이 돌출하면서 논란이 거듭되는 양상이다.

일단 이 전 후보자의 지명철회, 여기에 강 비서관의 빠른 사퇴로 진화에 나서는 모습이지만 앞으로도 강선우 후보자에 대한 비난 여론이 이어질 가능성이 있어 대통령실은 잔뜩 긴장한 채 여론 추이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하지만, 대통령실은 ‘인사 시스템에 문제가 없다’는 입장을 강조하고 있다.

강유정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관련 질문에 “언론이나 국민이 제기하는 의혹이 인사 검증에서 허용할 수 있는 선을 넘어갈 때 사의 표명으로 답을 드린 것이며, 시스템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다”고 밝혔다.

인수위 없이 출범한 악조건이었다는 점을 환기하는 동시에 돌출 변수에 대해선 신속하게 책임졌다는 점을 부각시킨 동시에 정면 대응한 것으로 풀이된다. 대통령실은 강 비서관 사퇴로 인사 논란을 일단락 지으려는 모양새이지만, 강 후보자를 둘러싼 논란으로 다시 한번 시험대에 오를 수 있다는 관측이 우세하다.

김두수기자 dusoo@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