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2분기 역대 최대 매출…영업이익은 ‘뚝’
현대자동차가 올해 2분기 분기 기준 역대 최고 매출을 기록했지만, 최대 수출국인 미국 상호관세 등 영향으로 영업이익은 크게 쪼그라든 것으로 나타났다.
현대차는 24일 경영실적 컨퍼런스콜을 열고, 연결 기준 2025년 2분기 영업이익이 전년동기(4조2791억원) 대비 15.8% 줄은 3조6016억원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밝혔다.
현대차는 지난해까지 최대 실적 흐름을 이어왔지만, 지난 4월부터 미국이 자동차 관세 25%를 부과하면서 2020년 3분기 이후 5년 만에 영업이익이 10%대로 감소했다.
올해 2분기 매출은 전년(45조206억원)보다 7.3% 늘은 48조2867억원으로 분기 기준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사상 최대 수준의 하이브리드차(HEV) 판매와 금융 부문 실적 개선, 환율 효과로 매출이 큰폭으로 늘었다.
2분기 순이익은 3조2504억원, 영업이익률은 7.5%를 나타냈다.
현대차는 올해 3분기 국내·해외 등 글로벌 시장에서 전년비 0.8% 늘은 106만5836대를 팔아치웠다.
국내 시장에서는 팰리세이드와 아이오닉 9 신차 출시 효과로 전년비 1.5% 늘어난 18만8540대를 판매했다. 해외에서는 관세 판매가 반영 전 수요가 늘면서 미국 판매가 전년 동기 대비 3.3% 증가한 26만2305대를 기록했다.
대외 환경 악화로 신흥 시장 판매는 줄었지만, 해외 판매는 전년비 0.7% 증가한 87만7296대가 팔렸다.
미국을 포함해 올해 2분기 글로벌 판매 증가는 HEV 등 친환경차가 주도했다.
글로벌 친환경차 판매 대수(상용 포함)는 전년 동기 대비 36.4% 증가한 26만2126대를 달성했다. 전기차(EV)가 7만8802대, 하이브리드는 16만8703대였다.
유럽 지역 중심으로 전기차 판매 비중 확대, 하이브리드 라인업 강화로 수요가 늘면서 친환경차 판매 호조세를 이끌었다.
현대차는 향후 관세 등 통상 환경의 변동이 손익 등 경영활동 리스크로 작용할 것으로 내다봤다. 신흥 시장 중심으로 판매 둔화가 이어지면서 예측하기 어려운 경영환경이 하반기에 지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현대차는 이러한 불확실성이 확대 속에서 연초에 발표한 2025년 가이던스를 잠정 유지하고, 내달 1일에 발표될 미국 정부의 관세 정책 방향성에 따라 전략 고도화 등 대응책을 체계적으로 마련한다는 구상이다.
또 현대차는 지난해 발표한 밸류업 프로그램에 따라 이날 2025년 2분기 주당 배당금을 전년 동기(2000원)보다 25% 오른 2500원으로 결정했다.
현대차 관계자는 “최근 복합적인 대내외 경영 리스크에 대한 정교한 분석과 근본적인 미래 경쟁력 확보를 위한 과감한 혁신으로 지속적인 성장 모멘텀을 마련해 나갈 계획이다”며 “거시적인 경영 환경 변화에도 불구하고 주주가치 극대화를 위해 기존에 약속한 주주환원 정책의 충실한 이행을 위해 지속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서정혜기자 sjh3783@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