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한기후 시대, 산사태 대응책 개선돼야
2025-07-25 신동섭 기자
24일 본보 취재를 종합하면, 지난 19일 경남 산청군에서는 단 하루 동안 300㎜에 이르는 비가 쏟아져 10명이 숨지고 4명이 실종됐다. 상당수는 산사태에 의한 참사인데, 인명피해가 집중된 6곳 중 산사태 취약지역으로 지정된 곳은 단 1곳에 불과했다.
울산 울주군 역시 지난 주말 300㎜를 넘나드는 강우가 내리며 지난 3월 산불이 발생했던 온양·언양 피해 지역 주민들은 산사태 우려로 밤을 지샜다.
군에 따르면 산사태 취약지역은 산림청에서 수십년 동안의 강우 빈도, 지질, 수계, 임목 분포 등 다양한 데이터를 혼합하는 방식으로 기초조사를 실시해 후보지를 선정한다. 이후 각 지자체가 후보지에 대한 실태 조사를 실시해 산사태 평가 점수가 기준 이상인 곳만 산사태취약지정위원회의 검토를 거쳐 산사태 취약지역으로 지정한다.
우리나라 국토 특성상 산이 너무 많고 넓어 관리하기 어렵다 보니 인명 피해가 우려되는 지역 위주로 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산지가 많은 군에는 무려 878곳의 산사태 취약지역이 존재한다. 이에 방대한 취약 지역을 한정된 행정력과 인력으로 관리하기에는 힘이 부치는 게 현실이다.
이에 전문가들은 주민 대피 매뉴얼을 정비해 인명피해 예방에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다고 조언한다. 산사태 경보 발령 이후 대피하는 현행 체계 대신 선제적인 대피 조치로 변경하는 등 산불처럼 대응 매뉴얼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입을 모은다.
또 광범위한 산사태 취약지역으로 인한 대피 지원 인력 수급과, 기지국이 무너지는 상황을 가정한 재난 소통 수단 다변화도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울주군 관계자는 “올해처럼 극한 강우가 자주 호면 모든 산에서 산사태 발생할 수 있다고 가정해야 한다. 울산도 지난 주말 2시간만 더 비가 내렸다면 산청처럼 산사태가 일어났을 수도 있다”며 “조금이라도 위험이 예상된다면 주민들을 먼저 대피하는 방안을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신동섭기자 shingiza@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