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포]‘폭염 속’ 울산 유기동물 보호소 가보니...냉방시설 선풍기뿐…동물들 ‘녹초’ 봉사자 ‘뚝’
2025-07-29 주하연 기자
28일 찾은 북구의 한 민간 유기동물 보호소. 이날 울산의 낮 기온은 32℃까지 오르면서 보호소 안은 무더위에 지친 동물들의 숨소리로 가득했다. 이 보호소에는 75마리의 유기견과 39마리의 유기묘가 생활하고 있다. 좁은 공간에 많은 동물이 모여 있는 데다 냉방기기는 20대도 채 되지 않는 선풍기가 전부다. 찜통더위 속에서 기력을 잃은 유기견들은 바닥에 축 늘어진 채 물그릇 주변에 웅크리고 있었다.
보호소 직원 A씨는 “올 여름 더위에 특히 약한 개 두 마리가 열사병 증세를 보이다 결국 죽었다. 사람도 더운데 털 달린 동물들은 얼마나 더 덥겠느냐”며 “당장 냉방장치를 설치할 여력이 없어 걱정”이라고 한숨을 내쉬었다.
폭염은 보호소 동물뿐 아니라 사람에게도 영향을 미친다. 이곳은 평소에도 인력이 넉넉하지 않지만, 더운 여름철이 되면 봉사자 수가 크게 줄어들어 운영에 어려움이 가중된다.
봄·가을엔 하루에 15명가량의 봉사자가 찾는 데 반해 춥거나 더운 날에는 5명도 채 모이지 않는다.
주말 일부 시간대를 제외하면 평일 대부분은 운영자 한두명이 보호소에 머무르며 114마리의 동물을 돌보고 있는 실정이다.
A씨는 “동물보호법상 적정 수준은 보호자 한 사람당 20마리지만 민간 보호소에서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수치”라고 호소했다.
울산시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7월28일까지 울산 전역에서 구조된 유기동물은 개 623마리, 고양이 754마리, 기타 11마리 등 총 1388마리다.
전문가들은 유기동물 관리에 있어 ‘단기 구조’보다 ‘장기 보호와 정착’에 방점이 찍혀야 한다고 지적한다.
관내 한 동물보호단체 관계자는 “단기간 보호 후 입양이 되지 않으면 열악한 시설에 장기 수용될 수밖에 없다”며 “보호소 간 격차를 줄이고, 지자체 차원에서 최소한의 생존 환경 조성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울산시는 유기동물 구조와 입양을 촉진하기 위해 다양한 지원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구조 활동을 위해 포획 비용을 마리당 17만원까지 보조하며, 입양자에게는 동물 1마리당 치료비 7만원을 지원한다.
글·사진=주하연기자 joohy@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