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지류형 소비쿠폰 불가…사전안내 없어 혼선

2025-07-30     주하연 기자
#지난 28일 주소지 관할 행정복지센터를 찾은 A씨는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신청하기 위해 한참을 기다렸지만 끝내 허탈한 발걸음을 돌려야 했다. 1시간 넘게 대기한 끝에 만난 센터 관계자로부터 “지류형 지급은 불가하다”는 안내를 들었기 때문이다. A씨는 “지류형 지급이 안 된다는 사전 안내가 있었다면 진작 온라인으로 신청했을 것”이라며 “전통시장 노점상은 애초에 포기한 것이냐”고 분통을 터뜨렸다.

29일 본보 취재를 종합하면, 정부는 지난 21일부터 ‘민생 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고 있다. 각 지자체와 연계해 신용카드, 체크카드, 선불카드, 지역사랑상품권 등 다양한 방식으로 지원한다.

하지만 울산시는 이번 사업에서 지류형 지역사랑상품권 지급을 제외했다. 시는 사전에 신용·체크카드, 지역사랑상품권, 선불카드 중 선택해서 신청할 수 있다고 안내했다.

선택 사항 중 상품권이 있었던 만큼 지류형이라고 생각한 A씨 등의 시민은 헛걸음을 하게 됐고, 시는 지역사랑상품권이 ‘울산페이’ 앱을 통해 발급되는 모바일 상품권을 의미한다고 뒤늦게 해명했다.

이는 울산에서 유통 중인 지류형 지역화폐가 없기 때문이다. 울산페이는 블록체인 기술 기반으로 불법 현금화와 같은 기존 지류형 지역화폐의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울산 내에서만 거래가 이뤄지도록 설계됐다.

시 관계자는 “ 군인, 교정시설 수감자, 요양병원 입원자 등 모바일 사용이 어려운 특정 대상자에게는 온누리상품권을 우편으로 전달하고 있지만, 유효기간이 길기 때문에 일반 시민에게는 소비쿠폰 명목으로 지급하지 않는 것이 원칙”이라며 “지류형 상품권의 경우 수급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원활한 배급이 가능한 카드형으로 지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문제는 고령층 시민과 전통시장 상인들이 모바일 상품권 활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점이다. 특히 전통시장 내 노점상이나 POS(판매시점정보관리시스템)를 갖추지 않은 상점의 경우 모바일 결제가 어려워 실질적인 소비쿠폰 수혜에서 소외되는 구조다.

이에 더불어민주당 울산시당은 29일 울산시의회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소비쿠폰 사업에 지류형 상품권 방식을 도입할 것을 촉구했다.

오상택 울산시당 지방선거전략단장은 “전통시장에서는 실물형 화폐가 더 많이 사용되고 있다”며 “이들이 소비쿠폰 혜택을 체감하려면 울산도 지류형 상품권을 준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글·사진=주하연기자 joohy@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