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유지 개방 주차장, 관리·홍보 미흡 ‘있으나 마나’

2025-08-12     신동섭 기자
도심 주차난 해소를 위해 도심 유휴 사유지를 개방 주차장으로 조성하는 사업이 적극행정의 한 사례로 최근 몇 년 전부터 호평 받은 가운데, 현장에서는 조성 이후 홍보와 관리가 꾸준히 따라주지 않아 유명무실 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일부에서는 오히려 주민 불편을 초래하고 있는 실정이다.

11일 찾은 울산 울주군 범서읍 구영리 842 일원. 2m 가량의 석축 위 공터에 쇄석이 깔린 주차장이 조성돼 있다. 축대뿐만 아니라 주차장 곳곳에 수풀이 무성히 자라 있고, 주차장 입구턱 한 곳이 깊게 파여 있어 차들이 드나들 때마다 차량 하부에 부딪히고 있다.

주민 A씨는 “잡초 제거를 해달라고 군청에 수차례 요청한 지 오래지만 여전히 해결되지 않고 있다”며 “주차장이 알려지면 알려질수록 주차장 안은 물론 주변 도로까지 쓰레기가 방치되고 있어서 문제다”라고 토로했다.

울산시에 따르면 사유지 개방사업은 건축계획이 없는 유휴 사유지를 지역 주민에게 주차장으로 2년 이상 개방하면 재산세 감면 혜택을 부여한다. 지난 2000년 초부터 조성하기 시작해 현재 울산 전체 169곳(3203면)에서 개방 주차장이 운영되고 있다. 최근 몇 년 사이에는 100곳이 넘는 주차장이 새롭게 조성되는 등 토지주, 지자체, 주민 모두가 만족하는 사업으로 평가를 받고 있다.

하지만 이를 관리하는 구·군별로 담당인원은 단 한 명뿐이라, 한 명이 수십곳에 달하는 개방 주차장을 조성·관리하고 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제초작업과 쓰레기 투기, 시설 안전관리 등 다양한 민원 대응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담당자가 해당 사업만 맡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관리 인력 한계와 더불어 ‘홍보 미흡’ 역시 큰 문제로 꼽힌다.

사유지 개방 주차장은 포털사이트나 내비게이션, 인터넷 지도 서비스에 등록되지 않아 인근 주민 외에는 주차장 존재 자체를 알 수 없는 실정이다. 주차난 지역 방문객들이 목적지 인근의 개방 주차장을 검색조차 못 해, 접근성이 크게 떨어지는 것이다.

사유지 개방 주차장이라는 알림판을 보고도 갓길에 주차한 B씨는 “내비게이션이나 지도 앱에 주차장이 표시돼 있지 않아, 사설 주차장인지 알았다”며 “왜 주차장을 잘 조성하고서도 알리지 않는지 모르겠다”고 강조했다.

이 같은 문제에 대해 울산시도 공감을 하고 있다.

이에 시는 사유지 개방 주차장뿐만 아니라 민간·공영 등의 위치, 운영시간, 면적 같은 모든 주차장 정보 통합 제공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계획을 검토 중이다.

울산시 관계자는 “체계적 관리 필요성 필요한 건 사실”이라며 “현재 울산시 주차정보안내 시스템 누리집에서는 공개하고 있지만, 포털 등에 신규로 등록·관리 부분은 미흡하다”며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현재 시 전체 주장의 정보를 통합하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사업을 준비 중에 있다”고 밝혔다. 신동섭기자 shingiza@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