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부동산, 매매 멈추고 전·월세 달렸다

2025-08-19     오상민 기자
7월 울산 지역 주택시장은 매매보다 전·월세 시장이 뚜렷한 강세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적으로는 수도권을 중심으로 매매와 임대가격이 모두 오름세를 이어갔지만, 울산은 매매가 보합에 머문 반면 전세와 월세는 전국 평균을 웃도는 상승률을 기록했다.

18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7월 전국주택가격동향조사’에 따르면, 울산의 주택 매매가격지수는 전월 대비 0.03% 상승하는 데 그쳤다. 전국 평균 상승률 0.12%의 4분의1 수준으로, 수도권(0.33%), 서울(0.75%)과 비교하면 더더욱 낮은 수치다.

다만 5대 광역시에서 모두 하락 흐름을 보였지만, 울산만 상승한 모습을 보였다. 대구가 -0.28%로 하락폭이 가장 컸고, 대전(-0.21%), 광주(-0.18%), 부산(-0.08%) 순이었다.

울산 전체적으로는 소폭 상승하는 모습이지만, 지역별로 엇갈린 흐름이 두드러졌다. 세부적으로는 중구(0.16%)와 남구(0.11%)가 소폭 오르며 전체 지수를 끌어올렸지만, 동구(-0.31%)와 울주군(-0.02%)은 하락세를 보였다.

반면 전세시장은 전국 평균을 크게 상회했다. 울산 전세가격지수는 0.20% 올라 전국 평균(0.04%)의 5배를 웃돌았다.

지방 전체 전세가격이 -0.03%로 하락세를 이어간 것과도 대조적이다. 수도권 역시 0.11% 상승에 그쳤다. 울산은 남구(0.22%)와 북구(0.29%) 대단지, 정주여건이 양호한 지역을 중심으로 임대 수요가 이어지며 강세를 보였다.

울산 월세가격지수는 0.22% 상승해 전국 평균(0.09%)의 2배가 넘는 상승률을 기록했다. 서울(0.23%)과 비슷한 수준이다.

특히 동구(0.40%) 지역 수요가 꾸준히 이어지며 가장 상승폭이 컸다. 부동산 업계는 매매 수요가 위축된 상황에서 실수요자들이 임대차 시장으로 눈을 돌리며 월세 수요가 늘어난 결과라고 풀이했다.

전국적으로는 매매가격지수가 0.12% 오르며 2개월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으나, 전월(0.14%)보다 상승폭은 줄었다. 수도권은 0.33%로 상승폭을 유지했지만 지방은 -0.08%로 하락세를 벗어나지 못했다. 전세(0.04%), 월세(0.09%)는 모두 전월보다 상승폭이 확대됐다. 오상민기자 sm5@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