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 취약계층·지역별 맞춤형 대책 마련
2025-08-19 석현주 기자
시는 18일 시청 본관 4층 국제회의실에서 ‘기후위기 취약계층 및 취약지역 지원 방안 연구’ 중간보고회를 개최했다. 이번 연구는 어린이·고령자·저소득층 등 사회적 약자를 비롯해 폭염·호우·침수 등 재난에 취약한 지역을 대상으로, 기후위기에 따른 피해 최소화와 회복력 향상을 위한 정책적 대응 방안을 도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연구는 울산연구원이 지난 3월부터 수행하고 있다.
보고회 논의의 핵심은 △신체·사회·경제·주거 취약계층별 기후 영향 평가 △폭염·침수 등 기후요소별 취약지역 공간 분석 △국내외 적응 사례 조사(쿨링포그·쿨루프·차수판 설치 등) △예방 및 적응 정책 제언 등이었고, 실질적 대응 전략 마련에 초점이 맞춰졌다.
특히 연구진은 60세 이상 고령 인구와 영유아 등 폭염에 취약한 인구 분포와 경제적 취약계층 밀집지역을 중첩 분석해 기후위기 대응에서 우선순위를 둬야 할 지역을 도출 중이다. 중간 결과에 따르면 중구 성남동, 남구 삼산동, 남구 달동 등은 폭염 취약계층의 유동인구가 많아 집중 관리가 필요한 지역으로 제시됐다.
이에 따라 시는 무더위 쉼터 신설 및 접근성 개선, 공공그늘막 설치, 건물 지붕 쿨루프 도입, 주요 도로변 쿨페인트 시공, 도심지 쿨링포그 운영 등 다양한 적응 방안을 지역별 특성에 맞게 적용할 계획이다. 예컨대 산업단지 내 낮 시간대 직장인 유동인구가 많은 지역에는 야외근로자의 폭염 노출 가능성을 고려해 이동식 무더위 쉼터를 설치하는 방안을 검토한다.
울산연구원은 이번 연구의 핵심을 “열 분포·열 노출 등 기후취약 지역과 취약계층의 공간 분포를 중첩 분석해 정책 추진의 근거 데이터를 마련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데이터 기반의 분석은 향후 구·군별 맞춤형 사업 추진뿐 아니라 정부 공모사업 참여에도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최종 보고서는 올해 말 확정될 예정이다. 울산시는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시급성이 요구되는 과제부터 우선적으로 정책에 반영해 추진할 방침이다. 또 각 구·군에서도 공간 분석 자료를 활용해 중앙정부의 기후적응 관련 공모사업에 적극 도전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석현주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