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다에 왔지만 지갑 안열었다”, 울산 ‘바다가는 달’ 효과 미미

2025-08-19     오상민 기자
울산 연안지역이 정부의 전국 단위 해양관광 캠페인 ‘바다가는 달’의 성과에서 상대적으로 소외된 것으로 나타났다. 내국인 방문객은 소폭 늘었지만 소비는 오히려 줄면서, 정책 효과가 다른 연안권에 비해 미약했다는 평가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은 18일 이같은 내용을 담은 ‘문체부·해수부 협업, 최초 전국 해양관광 캠페인 바다가는 달의 성과와 과제’ 보고서를 출간했다.

캠페인 기간 동안 전국적으로 내국인 방문자는 전년 같은 달 대비 12.3% 증가했고, 외국인 관광객 수도 18% 늘어나며 전반적으로 수요가 회복한 것으로 확인됐다.

하지만 울산은 이같은 성과와 거리가 멀었다. 한국관광공사 빅데이터 분석 결과, 울산 연안은 지난 2~5월 3개월간 내국인 방문객이 전년 대비 8.4% 증가하는 데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충남(25%), 전북(24%), 전남(18.7%), 강원(16.2%) 등 주요 연안지자체가 두 자릿수 증가율을 기록한 것과 뚜렷한 대조를 이뤘다.

소비 규모에서는 더욱 부진했다. 5월 한달간 전국 연안지역 소비가 평균 2.3% 증가했으나 울산(-1.98%)은 전년보다 감소했다. 제주를 제외한 연안 지역에서 사실상 유일한 감소를 보였다.

보고서는 해수욕장 비수기 영향이 일부 작용한 것으로 분석하면서도, 단기 요인으로만 보기 어렵다며 유사한 패턴이 반복되는지 지속적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전문가들은 이번 결과가 전국 단일형 캠페인이 수도권과 비수도권 일부 연안지역에서 차별적인 효과를 낳았음을 보여준다고 평가한다. 특히 전북(10.8%), 충남(8.1%) 등 서해안권은 뚜렷한 소비 증가세를 보인 반면, 울산·부산과 같은 광역 해양관광 도시는 정체 국면을 면치 못했다.

보고서는 “내국인 관광 소비 정체에 대응한 체류형 소비 유도 전략 강화해야 한다”며 “참여형 지역 캠페인의 정책 효과성 확인됐다. 체험·혜택 복합형 구조로 고도화가 필요하다. 무엇보다 지역 간 편차 완화를 위한 권역 맞춤형 전략의 재편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한편 문체부와 해수부가 지난 5월 공동 추진한 ‘바다가는 달’ 캠페인은 전국 연안·어촌지역에서 숙박·체험·입장권 할인과 지역축제, 특화 콘텐츠를 결합해 해양관광 수요를 끌어올리려는 취지로 시행됐다.

오상민기자 sm5@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