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주지역서 ‘신규원전 찬반 논란’ 재점화
2025-08-20 신동섭 기자
울주군주민회 등 7개 시민사회단체는 19일 울산시청 프레스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신규원전반대울주군대책위원회(이하 원전 반대단체)’ 발족 및 신규 원전 유치 반대운동을 선언했다.
이들은 서생면 주민을 중심으로 원전 추가 유지 기조가 형성되자 이를 저지하기 위해 반대운동에 힘을 모으고 있다.
원전 추가 유치 찬성 측 주민들은 문재인 전 정부의 ‘탈원전’이나 수명이 다한 원전 감축이 아닌 원전과 신재생에너지에 함께 투자하는 ‘에너지믹스’ 정책 등 원전 정책 기조 변화 속에 원전 추가 유치 필요성에 대한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군청사 앞과 마을 곳곳에는 신규 원전 찬성 플래카드가 걸려있다.
찬성 측은 올해 초 서생 주민 70%가량의 서명을 받은 상태며, 주민 80% 이상의 동의를 받은 뒤 군과 정부에 자율 유치 건의서를 제출한다는 계획이다.
김명수 서생면 이장단협의회장은 “온산·온양 주민들은 원전 추가 유치에 대해 반대하지 않는다. 오히려 원전 인근 주민이 아닌 타 지자체 주민들이 많이 반대하는 것 같다”며 “원전 추가 유치는 지역과 국가를 위해 필요한 일이다”고 밝혔다.
원전 추가 유치 주민들의 행보가 이어지자 이날 원전 반대단체들은 신규 원전 유치 반대 입장을 명확히 밝혔다.
이들은 “문재인 정부 들어 결과적으로 신고리원전 5·6호기 건설 재개가 결정됐다”며 “시민참여단은 매몰 비용을 생각해 짓던 원전은 건설하되 신규 원전 건설은 중지해야 한다는 결론의 권고문을 정부에 제출했고, 정부는 권고안을 받아들여 공정률 90% 이상이던 신고리 5·6호기 건설은 재개하되 신규 건설을 추진 중이던 삼척과 영덕의 핵발전소에 대해서는 지정 고시를 해제하고, 신규 원전을 추가로 짓지 않기로 했다”고 말했다.
이어 “그러나 서생면 일부 주민이 윤석열 정부의 원전 진흥 정책 기조에 따라 신규 핵발전소를 울주군에 유치하라고 요구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또 “울산은 향후 5년 안에 원전 6기 분량의 풍력 발전 설비가 들어서면 전기가 부족하지 않은 만큼 신규 원전 건설도 필요하지 않다”고 추가 원전이 불필요함을 역설했다.
원전 유치 반대단체들은 군민들을 대상으로 원전 건설 반대 서명운동에 돌입한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신규 원전 건설 불가와 노후 원전 수명연장 금지 등의 점진적 탈원전 정책 추진을 정부에 전달할 계획이다.
신동섭기자 shingiza@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