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울산 국가산단, ‘오래된 옷’ 벗고 미래 산단 거듭나길
울산시가 지역 경제의 심장인 울산·미포 및 온산 국가산업단지 개발 계획을 5년 만에 전면 재정비한다. 이는 반세기 동안 전통 제조업에 고착화된 산업 구조를 탈피하고, 노후화된 기반 시설을 쇄신하여 미래형 산업단지로 전환하려는 결정이다. 울산 산단이 ‘오래된 옷’을 벗고 AI, 로봇, 수소에너지 등 첨단 산업 수요에 맞는 ‘미래지향적 새 옷(계획)’으로 변모하려는 첫걸음이다.
오는 2027년 말까지 확정·고시할 국가산단 개발계획 재정비 대상은 총 7440만㎡로, 이 중 14.7%인 1094만㎡가 미개발 용지다. 이번 재정비는 지난 2022년의 부분적 정비와 근본적으로 다르다. 당시에는 도시계획시설 일몰제에 따른 기반시설 정비와 도시관리계획 조정에 초점을 맞췄다면, 이번에는 산업 경쟁력 강화와 미래 전략까지 포괄하는 종합 계획을 마련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대한민국 경제 성장을 이끌어온 울산·미포와 온산 국가산업단지는 지정 이후 50년이 넘는 세월 동안 부분적 정비에만 머물렀다. 이로 인해 노후화된 인프라, 비효율적인 물류 시스템, 편향된 산업 구조라는 삼중고에 시달려왔다. 특히 자동차, 조선, 석유화학 등 전통 주력산업은 글로벌 경쟁력 약화와 탄소 중립·디지털 전환 시대에 뒤처지면서 지역 경제의 지속 가능성마저 위협받는 상황이다.
시는 이번 개발계획 재정비 용역에서 산업구조 변화에 맞춰 친환경·첨단 신산업을 반영한 새로운 토지이용계획을 수립하고, 도로 등 비효율적인 기반 시설을 전면 개선할 계획이다. 또한, 최근 효력을 잃은 주간선도로를 대체할 시설과 스마트·친환경 산단으로의 전환을 위한 기반 시설 확충 방안도 마련한다. 기업 활동을 저해하는 불필요한 규제 완화도 함께 추진해 새로운 투자와 고용 창출을 유도할 방침이다.
시는 앞서 지난 2022년에도 울산·미포 및 온산 국가산업단지 개발계획을 재정비해 확정·고시했다. 당시 강양·우봉1지구 활성화 방안이나 산업폐기물 매립장 확충 방안과 같은 핵심 과제를 재정비 계획에서 제외하면서 지역 사회와 산업계의 비판에 직면하기도 했다. 이번 국가산단 재정비는 지난 반세기 울산 경제를 이끌어온 두 국가산업단지의 미래 50년을 좌우할 전환점이 될 것이다. 주력산업의 위기로 ‘잃어버린 10년’을 보낸 울산이 전통 산업과 4차 산업혁명 기술을 융합해 미래 산업수도로 재도약할 수 있을지 관심이 집중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