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북극항로 개척 울산항, 신 해양실크로드 시대 선도해야
정부가 여수·광양, 진해, 부산, 울산, 포항을 ‘북극항로 경제권역’으로 묶기로 하면서 울산항이 새로운 도약의 기회를 맞았다. 울산항은 국내 최초로 북극항로를 상업적으로 활용한 개척항이다. 지난 2009년 독일 선박 2척이 울산항에서 발전소 건설 자재를 싣고 북극항로를 이용해 네덜란드 로테르담항까지 성공적으로 완주한 경험이 있다. 정부의 북극항로 전략에 맞춰 울산 역시 철저한 준비와 대응이 필요하다.
지난 15일 서울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북극항로가 우리 자원안보에 미치는 영향’ 세미나는 울산항이 친환경 에너지 물류 거점으로서 북극항로 시대를 선도할 가능성을 확인하는 자리였다. 세미나에서는 울산항이 북극항로의 최적 거점항이 될 수 있다는 분석이 제시됐다. 북극항로는 일반 화물보다 에너지 물류에 더 큰 경제성을 지니고 있는데, 국내 최대 액체화물 처리항인 울산항이 물류 거점의 최적지라는 것이다.
북극항로는 기후변화로 북극의 해빙 면적이 줄면서 러시아 북부를 거쳐 유럽으로 가는 항로다. 현재는 1년에 약 4개월 정도 운항이 가능하지만, 늦어도 2030년에는 연중 운항이 가능할 것이라는 연구 결과도 있다. 기존 수에즈 운하를 통과하는 항로보다 거리, 시간을 30% 이상 단축할 수 있어 경제적 이점이 크다.
그러나 울산이 북극항로 거점항만으로 거듭나려면 해결해야 할 과제가 많다. 우선 2017년 예비타당성 조사를 완료했으나 예산 문제로 지연된 남신항 개발 사업을 조속히 재개해야 한다. 향후 북극항로 운항 선박은 암모니아, 수소, 메탄올 등 친환경 연료 사용을 의무화할 가능성이 높다. 이 경우 남신항은 북극항로 시대 신에너지 공급 거점으로서 전략적 가치가 더욱 커질 것이다.
또한, 정부의 북극항로 정책에 맞는 지역 전략도 필요하다. 울산시의 전담 부서 설치, 정책 발굴, 전문 인력 양성, 북극항로 특별법 대응 등 지역적 대응 전략 체계를 갖춰야 한다. 최근 ‘북극항로 개발 대응’ 전담팀을 신설한 경북도의 사례를 참조할 필요가 있다.
울산항은 16년 전 북극항로 개척에 성공한 경험이 있다. 그러나 시범 운항에 나설 기업이 없어 정부 주도 사업에서 뒤처졌다. 이 경험을 교훈 삼아, 울산항은 신(新) 해양 실크로드 개척에 더욱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
전담 부서를 설치하고, 남신항 개발 사업을 조속히 재개해야 한다. 과감한 투자와 선제적 대응을 통해 북극항로의 전진기지로 자리매김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