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복합위기 돌파 5년간 77조3천억 투자

2025-09-19     서정혜 기자
현대차·기아

현대자동차가 전기차 캐즘과 관세 등 복합위기 돌파를 위해 내년부터 향후 5년간 국내외에 77조3000억원을 투자한다.

내년 1분기 울산 신공장 완공 후에는 연간 20만대의 전기차도 양산한다.

현대차는 18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맨해튼 더 셰드에서 글로벌 투자자, 애널리스트, 신용평가사 등을 대상으로 ‘2025 CEO 인베스터 데이’를 열고, 중장기 전략과 재무 계획을 발표했다.

먼저 현대차는 2030년까지 77조3000억원을 투자한다. 투자 분야는 연구개발(R&D) 30조9000억원, 설비 38조3000억원, 전략 8조1000억원 등이다.

현대차는 관세 위기 극복을 위해 미국 투자도 적극적으로 추진한다.

현대차의 미국 투자 금액은 2025~2028년 기존 11조6000억원(88억달러)에서 15조3000억원(116억달러)으로 3조7000억원(28억달러) 늘어난다. 이는 현지 생산 확대 및 로보틱스 생태계 구축 등을 위해 올해부터 4년간 미국에 260억달러를 투자한다는 계획의 일환이다.

또 현대차는 2030년 연결 기준 영업이익률 8~9%를 달성한다는 중장기 재무 전략을 발표했다.

현대차는 관세 등 변수를 고려해 올해 초 제시했던 ‘2025년 연결 기준 연간 가이던스’ 수치는 다소 수정했다. 전년 대비 연결 매출액 성장률 목표는 올해 초 제시한 3.0~4.0%에서 5.0~6.0%로 2%p 상향했다. 연결 부문 영업이익률 목표는 관세 영향을 반영해 기존 7.0~8.0% 대비 1%p 하향한 6.0~7.0%로 설정했다.

2030년 글로벌 판매 목표를 555만대로 잡고, 60%에 해당하는 330만대를 전기차(EV)·하이브리드차(HEV) 등 친환경차로 채운다. 이를 위해 하이브리드차 차종은 제네시스를 포함해 총 18개로 확대하고, 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의 연산 규모를 50만대로 끌어올리는 등 글로벌 생산능력을 120만대 추가한다.

현대차는 비용은 낮추면서도 에너지밀도, 안전 성능 등은 개선된 차세대 전기차 플랫폼 개발에도 박차를 가한다.

지난해 CEO 인베스터 데이를 통해 처음 전략이 공개된 주행 거리 연장형 전기차(EREV)가 대표적으로, 해당 차량은 2027년 출시될 예정이다. 현대차는 전기차 대비 55% 작은 용량의 배터리를 탑재해 EREV를 합리적인 가격에 선보일 계획이다.

현대차는 내연기관과 동등한 수준의 주행 성능과 내구성을 갖춘 차세대 수소전기차도 개발할 계획이다.

또 2026년까지 SDV(소프트웨어 중심 자동차) 페이스 카 개발 프로젝트를 완료하고 양산차에 확대 적용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내년 2분기 차세대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플레오스 커넥트’가 적용된 차량들도 선보일 예정이다.

이를 위해 현대차는 2030년까지 생산능력을 120만대 추가로 확보할 계획이다. 미국 HMGMA의 연산 규모를 현재 30만대에서 50만대로 늘린다. 올해 4분기 완공돼 내년 가동되는 인도 푸네 공장의 연간 생산규모도 25만대까지 늘릴 계획이다.

현대차는 사우디아라비아 등 현지 파트너와 협력해 CKD(반조립제품) 생산 거점도 확장해 25만대 이상의 생산능력을 추가로 확보한다.

호세 무뇨스 현대차 사장은 “현대차가 다시 한번 불확실성의 시기를 마주했다”며 “글로벌 판매량 확대, 생산 거점 확보, 다각화된 포트폴리오 등으로 변화를 주도하는 미래 모빌리티 회사로 거듭나겠다”고 밝혔다.

서정혜기자 sjh3783@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