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두수 칼럼]시도지사들의 리스크와 김두겸 울산시장

2025-09-22     김두수 기자

경기도지사 출신 이재명 대통령은 국정운영 초반 2500만 ‘한수이남’ 발전에도 깊은 관심을 나타내고 있다. 경기도지사를 성공적으로 마친 뒤 국회에 입성, 당 대표에 이어 권좌에 오른 이 대통령으로선 지역발전 리더십의 중요성을 몸소 체감했기 때문인지도 모른다. 헌정사에 광역단체장 출신 대통령은 서울시장 출신 이명박(MB) 대통령과 이재명 대통령 등 2명이다. 그만큼 시도지사의 정치적·행정적 영향력이 막강하다는 방증이다. 21일 현재 전국 시도지사 판도는 국민의힘 11명(공석 대구시장은 제외), 더불어민주당 5명이다. 5개 정부 대통령실 출입기자 경험칙상 여권 지휘부 안팎의 정무적 대응의 시그널은 여야 시도지사에겐 음양으로 온도 차이를 느껴온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이재명 대통령의 스타일은 초당적으로 시도지사와 함께 역동적으로 일하는 분위기 조성에 방점이 찍힌 듯 비친다.

이런 가운데 시도별 행정에 대한 평가와는 별개로 정치적·사법적 리스크에 대한 현주소는 과연 어떠한가?

압도적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국민의힘 시도지사들의 명암이 확연히 엇갈리는 모양새다. 정치적이든 ‘개인사’든 내란특검과 사정당국의 수사선상에 올라와 있는 현직 시도지사가 무려 10명 안팎이다. 먼저 12·3 내란 계엄 협조 의혹을 받는 지자체는 서울시·부산시·인천시·강원도·경북도 등이다. 특히 서울·부산시는 행안부 지시가 내려오기 전에 청사를 폐쇄했다는 의혹을 받는다. 이와 별개로 경북지사와 충북지사는 개인사 등으로 사정권에 의해 압수수색을 당한 바 있다.

여기에 더해 검찰은 최근 대전시장에 대해 벌금 500만원, 충남도지사에겐 벌금 300만원을 구형했다. 2019년 당시 국회 회의장을 점거해 이른바 국회선진화법 위반 혐의로 2020년 1월 기소된 후 최근 검찰의 구형량이다. 이 밖에도 정치 브로커 ‘명태균 게이트’ 의혹에도 자유롭지 못한 단체장도 있다. 공교롭게도 이들 시도지사 모두의 공통점은 국회의원 경험의 백전노장이라는 점이다. 지방선거 당시 다선 국회의원 경력의 화려한 프로필을 통해 국회와 대정부 채널에 유리할 것이라는 홍보 수단도 공천 티켓에 한몫했을 것이다. 하지만, 3년여가 지난 지금 국회의원 경험 등의 거창한 수식어는 외려 발목을 잡게 된 것이다.

이와 반대로 순수 지역 행정가 출신 김두겸 울산시장은 각종 의혹과 사정권에서 사실상 유일 ‘무풍지대’라는 관측이 나온다. 2022년 6월 지방선거 직전 김두겸 시장 후보에 대한 평가는 어떠했나? 당시 시장에 도전한 지역 출신 전현직 국회의원 경력의 예비후보군으로부터 집중 공격을 받은 이유는 단 하나. “국회의원 경험이 전무한 시장이 무슨 큰일을 할 수 있겠느냐”라는 물음표였다.

하지만, ‘순수 지역 행정리더’에 방점을 찍은 김 시장의 해답은 3년여가 지난 작금에서 명확해졌다. 당 소속 시장의 현실에서 당 지휘부와 함께하는 스탠스를 취하면서도 정략적 유불리에선 상대적 신중 모드 흔적이 돋보인다. 때문에 중앙 정치 무대와의 연대고리는 ‘적절하게’ 유지하면서도 지역 행정엔 올인해왔다는 분석이 나온다. 나아가 산업수도 콘셉트에 걸맞게 기업 유치 평가는 정부에서도 인정한 바 있다. 세계적인 리더십 전문가 존 맥스웰은 “리더십은 영향력”이라고 했다. 권한이나 직급이 아니라 리더의 태도와 신뢰가 곧 리더십의 본질임을 강조하는 말이다. 고위공직자의 청렴성은 선거에서의 유불리를 떠나 반드시 지켜야 할 필수 교양과목과도 같은 것이다. 정치적으로 유력 대선주자급에 회자된들 리스크로 변질되면 무슨 소용 있나.

김 시장은 2022년 7월1일 취임사에서 “대한민국 최고 비즈니스 시장이 되겠다”고 공언했다. 울산 경제에 역동성을 불어넣는 동시에 ‘리스크 제로’(0) 시장으로 울산 시민들의 자존심을 끝까지 지켜주기를 기대한다.

김두수 서울본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