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 “美 요구 투자방식 수용땐 금융위기”

2025-09-23     김두수 기자
취임 후 첫 유엔총회 참석을 위해 미국 뉴욕으로 출국한 이재명 대통령은 22일(한국시간) “한국과 미국 간 관세 문제를 가능한 한 조속히 해결하려는 목표를 갖고 있다”고 밝혔다.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 따르면 이 대통령은 이날 보도된 로이터 통신과의 인터뷰에서 “한국의 3500억달러 규모의 대미 투자에 대한 상업적 타당성 보장 문제로 양국 간 이견이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 대통령은 이어 “한미 간 통화 스와프 없이 미국이 요구하는 방식으로 3500억달러를 인출해 전액 현금으로 투자한다면 한국은 1997년 금융위기와 같은 상황에 직면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 대통령은 또 미국과의 무역합의를 문서화한 일본의 외환보유액 규모 등을 설명하며 한국은 일본과 상황이 다르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상업적 합리성을 보장하는 구체적인 합의에 도달하는 것이 현재의 핵심 과제로, 이는 가장 큰 걸림돌로 남아있기도 하다”며 실무급 협의에서의 제안들은 상업적 타당성을 보장하지 못해 양국 간 이견을 메우는 것을 어렵게 만들었다고 설명했다.

특히, 이 대통령은 ‘협상이 내년까지 이어질 수 있는지’에 대한 질문엔 “우리는 이 불안정한 상황을 가능한 한 빨리 끝내야 한다”고 했다.

이 대통령은 이달 초 미 당국이 조지아주 현대자동차-LG에너지솔루션 공장 건설 현장에 대해 벌인 이민 단속과 관련해선, 한국인 근로자들에 대한 “가혹한” 처우에 한국민들이 분노했고, 대미 투자에 대해 기업들이 우려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도 이번 사건이 한미동맹을 훼손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당시 단속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지시가 아닌 과도한 사법 당국의 판단에 따른 결과라고 믿는다고 부연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보도된 영국 BBC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대통령으로서 우리 국민이 겪은 가혹한 처우에 대해 깊은 책임감을 느낀다”고 했다. 다만 ‘비 온 뒤에 땅이 굳는다’는 속담을 인용하며 이번 사건을 계기로 한미 관계가 더욱 강화될 것으로 믿는다고 덧붙였다. 김두수기자 dusoo@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