흡연자도 외면하는 흡연부스 ‘애물단지’
2025-09-26 권지혜 기자
25일 남구 삼산동 울산시외버스터미널 바로 옆에 위치한 이동노동자쉼터. 이동노동자들의 휴식공간 제공을 목적으로 조성된 쉼터로, 이곳에서는 흡연을 금지하고 흡연부스를 이용해 달라는 안내가 곳곳에 붙어 있다. 그러나 바로 옆 흡연부스를 두고 밖에서 담배를 피는 사람들이 자주 목격됐다.
터미널 앞 택시정류장에 정차한 택시기사들은 물론 터미널을 찾은 시민, 배달기사 등 흡연부스를 이용하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창원으로 가는 버스를 기다리던 권모씨는 “나도 흡연자이긴 하지만 흡연으로 피해보는 비흡연자, 아이들을 위해 지킬 건 지켜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특히나 이곳은 외국인들도 많이 찾는 터미널 주변이기에 울산의 이미지를 좌지우지 할 수도 있는 공간이다. 시대가 바뀐 만큼 공공질서를 꼭 지켜야한다”고 지적했다.
울산과학대학교 서부캠퍼스의 경우 흡연부스가 외딴 곳에 위치해 계단이나 벤치 등에서 흡연하는 일이 잦다.
울산과학대 재학생 A씨는 “흡연부스가 답답하고 담배 연기를 맡는 게 싫다면서 담배를 밖에서 피더라”며 “흡연부스가 실효성이 있는 건지 의문이 든다”고 설명했다.
울산시에 따르면 울산에는 실외 흡연부스 1078개, 실내 흡연부스 922개 등 총 2000개의 흡연부스가 있다.
그러나 흡연부스가 아닌 곳에서 담배를 피더라도 이를 막을 수 있는 방안은 없다. 금연구역이 아닌 곳에서의 흡연은 자유이기 때문이다.
일간에서는 사람이 몰리거나 좁고 더운 흡연부스의 열악한 환경을 개선해야 흡연부스 이용률을 높일 수 있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삼산동 이동노동자쉼터에서 만난 한 흡연자는 “흡연자들도 다른 사람의 담배 냄새를 맡는 걸 싫어한다”며 “특히 더운 여름날이나 사람이 많을 때는 찜통인 흡연부스 안에 들어갈 수 없을 정도”라며 흡연부스 환경 개선을 당부했다.
울산시 관계자는 “금연구역이 아닌 이상 이를 지도 단속하거나 벌금을 내릴 수 없으며 즉시 적발하는 데도 어려움이 많다”며 “지자체에서도 흡연부스 이용을 높이기 위해 보다 적극적으로 안내 및 계도를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글·사진=권지혜기자 ji1498@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