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울산시, ‘AI수도’로의 도약 위한 체계적 행보
울산시가 ‘AI 수도’로의 도약을 향한 본격적인 실행 행보에 들어섰다. 지난 8월 비전 선포 이후 불과 두 달 만에 민관 협력 포럼 출범, 국가 AI 컴퓨팅센터 유치 선언, 그리고 전담 조직 신설까지 거침없는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울산의 ‘AI 허브도시’ 전략이 막연한 정책 비전 ‘선언’을 넘어 실질적인 ‘행동’으로 옮겨지고 있다.
우선 울산시는 산·학·연·관이 함께 참여하는 ‘U-NEXT AI 포럼’을 출범시켰다. 행정과 산업계, 학계와 시민사회가 함께 AI 비전을 논의하는 협의체를 공식화한 것은 울산이 더 이상 특정 부문이 아닌 도시 전체 차원에서 AI 전환을 준비하고 있다는 신호다. 이 자리에서 울산시는 국가 AI 컴퓨팅센터 유치전 참여를 공식화했고, 이미 민간이 추진 중인 SK·AWS AI데이터센터와 연계한 제조특화 AI 집적단지 조성 계획도 함께 밝혔다.
정부가 GPU 5만장 이상 확보를 목표로 추진하는 ‘AI 고속도로’ 전략과 결합할 경우, 울산은 전국적 경쟁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는 잠재력을 지니게 된다.
비전이 실행으로 이어지려면 뒷받침할 행정 체계가 필요하다. 울산시는 이를 위해 국(局) 단위 조직인 ‘AI수도추진본부(3급)’ 신설을 입법 예고했다. 정책 총괄·산업 육성·인재 양성·기반 조성 등 울산형 AI 생태계 조성의 컨트롤타워 구축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여기에 울산시가 중소벤처기업부의 ‘지역 주도형 인공지능 대전환 사업’ 공모에 최종 선정돼 국비 140억원을 확보했다는 희소식도 전해졌다. AI 혁신허브 구축, 컴퓨팅센터 조성, 셜루션 보급과 맞춤형 컨설팅, 인재 양성 등 4개 분야를 통해 최대 200개 이상 지역 중소기업을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이는 지역 산업 체질개선의 기폭제가 될 것이다.
AI 수도로 가는 길은 선언만으로 열리지 않는다. 첫째, 대기업 중심이 아닌 중소기업까지 함께 성장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드는 것이 관건이다. 둘째, 인재 양성 체계를 튼튼히 해야 한다. 청년들이 지역을 떠나지 않고도 양질의 AI 일자리를 얻을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 셋째, 안정적인 전력망과 데이터 인프라 확충도 병행돼야 한다.
이번 조직 개편은 울산이 대한민국 AI 고속도로 전략의 핵심 거점으로 자리매김하겠다는 강력한 의지의 표현이다. 중요한 것은 속도와 지속성이다. 선언에서 실행으로 나아가는 울산시의 행보가 일회성으로 그치지 않고, 울산을 AI 산업의 선도 모델로 만드는 길로 이어지길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