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약자 보조기기 수리 지연 ‘발동동’
울산 유일의 보조기기서비스센터인 울산시보조기기서비스센터가 인력 부족에 매년 증가하는 전동보장구(전동휠체어, 의료용 스쿠터) 수리 수요를 제대로 감당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일 본보 취재를 종합하면, 울산시보조기기서비스센터는 지난 2008년 개소 후 2011년부터 울산시가 위탁 운영하고 있다.
고령화 등으로 전동보장구 이용이 늘면서 수리 건수도 매년 증가하고 있다. 감염 확산 방지를 위해 이동을 최대한 자제했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시기 연간 1300건가량이었던 수리 건수는 갈수록 늘어나 올해 9월 벌써 1300건을 돌파했다.
그러나 기술 인력이 3명에 불과해 늘어나는 수요를 감당하지 못하고 있다. 기술 인력은 2016년부터 지금까지 9년 동안 그대로 유지되고 있다. 이에 접수되는 수치에 비해 실제 수리하는 수치는 턱없이 부족하다.
울산시보조기기서비스센터 관계자는 “기술자 3명이 울산 전역의 전동보장구 수리를 감당하고 있어 과부하로 이미 한계에 도달했다”며 “울산은 광역시 중 면적이 가장 넓어 이동시간이 많이 소요돼 긴급한 수리가 발생해도 즉각적인 대처가 어렵다”고 토로했다.
실제로 동구에서 전동보장구를 타던 장애인이 주행 중 도로변에서 멈춰 오도가도 못하는 상황이 벌어졌지만 기술 인력이 울주군에 있어 즉각적인 수리가 불가능하는 등의 경우가 자주 벌어진다.
센터는 인력 부족으로 결국 피해를 보는 것은 장애인이라며 이들을 위해서라도 하루빨리 인력이 충원돼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울산시보조기기서비스센터 관계자는 “거동이 불편한 이들은 전동보장구가 고장나면 일상생활을 아예 하지 못한다. 원칙대로라면 수리가 접수된 다음 날 가야 하지만 인력이 부족하다 보니 급하지 않은 수리는 지연되고 있다”며 “지금은 2인 1조로 전지역을 움직이고 있는데 인력이 충원되면 구역을 나눠 보다 빨리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울산시 관계자는 “7월 울산시보조기기서비스센터와 간담회를 가지고 의견을 청취했다”며 “인력을 충원하는 방향으로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권지혜기자 ji1498@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