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불피해 온양 “자연·복합·인공조림 복원”

2025-10-24     신동섭 기자
울산 울주군이 지난 3월 발생한 ‘온양 산불’ 피해지역 복구를 위한 기본계획을 주민들에게 공개하고 의견을 수렴했다. 산주와 주민들은 복구 수종 선택과 공사 시 발생하는 문제들을 지적하고 나섰다.

군은 23일 온양읍 행정복지센터에서 산주, 지역 주민, 관계 공무원 등 5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온양 산불피해지 복구 주민설명회’를 열었다.

우선 군은 산불 피해지 372.9㏊ 중 ‘심’ 지역은 38.2㏊, ‘중’ 지역은 67.5㏊, ‘경’ 지역은 267.2㏊로 구분했다. 산불피해도에 따른 산림복구 유형은 자연복원 267.2㏊, 복합복원 67.5㏊, 인공조림 38.2㏊로 분류했다.

자연복원 지역은 최소한의 복구사업만 실행하고, 복합복원 지역은 피해 고사목을 골라베기한 뒤 천연하종갱신(벌채 후 숲에 남아있는 나무에서 떨어진 종자가 자연적으로 발아하고 자라 숲이 재생되도록 하는 방법)을 유도한다는 계획이다. 인공조림 지역은 대부분의 침엽수가 고사했기에 모두 베기 후 조림 사업을 한다.

복구 대상 수종으로는 동백·백합·아까시나무 등이 검토되고 있다.

하지만 주민들은 “수종을 선택할 때 주민 의견을 수렴하지 않았다”며 “수종 선택시 주민과의 의견 조율은 필수”라고 입을 모았다.

특히 산주들은 조림사업, 사방사업으로 인한 재산권 침해를 민감하게 받아들였다.

외광리 산주 이용진(79)씨는 “지난 1993년 상개마을에 산불이 났을 때 산불 피해지역이 그린벨트임에도 불구하고 정부에서 과수목을 심을 수 있게 했다. 결국 지목 변경도 가능해져 이제는 과수원으로 운영된다”며 “이번 산불 지역도 대부분 그린벨트로 묶인 곳이다. 여태 재산권 행사도 제대로 못 하고 있었는데, 이번 기회에 배를 심는 등 산주들이 영리 행위를 할 수 있게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주민들은 현재 진행 중인 사방작업뿐만 아니라 앞으로 있을 복구사업시 주민들에게 공사 소식을 미리 알리고, 농지·도로 훼손시 복구가 수반돼야 한다고 당부했다.

군은 주민설명회에서 나온 건의사항과 제안을 검토한 뒤 계획수립 및 보고회 등 절차를 거쳐 기본계획 수립을 확정할 예정이다.

울주군 관계자는 “이번 기본계획의 목표는 기존의 일률적인 인공조림에서 벗어나 식생 회복이 가능한 지역은 자연회복을 원칙으로 하는 것”이라며 “산불피해지의 생태 복원과 산림의 지속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신동섭기자 shingiza@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