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강도 대출 조이기에 은행권 주담대 증가폭 급감

2025-11-03     서정혜 기자
정부가 수도권을 중심으로 대출 규제를 강화하고, 이로 인해 주택 거래가 위축하면서 지난달 은행권의 주택 구입 목적 일반 주택담보대출 증가폭이 7000억원선에 머물렀다.

2일 금융권과 금융당국에 따르면 10월(1~30일 기준, 17영업일) 은행권 주택구입 목적 일반 주담대는 7000억원가량 증가했다. 전달 같은 기간 1조2000억원 늘어난 것과 비교하면 40% 이상 감소한 수치다. 말일 대출분이 반영되더라도 8월 2조90000억원, 9월 2조원 늘어났던 것에 비해 뚜렷한 감소세를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이는 정부가 6·27 대책, 10·15 대책 등으로 고강도 대출 조이기에 나선 것이 원인으로 꼽힌다.

또 은행권과 보험사들도 연말 가계대출 총량 관리에 돌입하면서 일반 주담대 증가세가 눈에 띄게 둔화했다.

최근 수도권 아파트 매매 거래량은 6월 3만4000가구, 7월 2만6000가구, 8월 1만5000가구 등으로 가파르게 줄어드는 등 주택 거래 자체도 크게 위축됐다.

통상 매매 계약과 대출 실행 간 2~3달의 시차가 존재하기 때문에 이러한 거래 감소세가 주담대 수치에 그대로 반영됐다는 해석이다

다만 은행권 가계대출 잔액은 전달보다 3조5000억원가량 늘면서 전달 2조원 늘어난 것과 비교해 증가 폭을 키울 것으로 전망된다.

중도금이 몰리며 집단대출(7000억원)이 일시적으로 늘었고, 증시 활황에 따른 신용대출(1조3000억원) 수요 증가 등이 더해졌다.

은행권은 금융당국에 제출한 연간 가계대출 총량 목표치를 맞추기 위해 연말까지 대출 문턱을 계속 높일 것으로 보인다. 이미 일부 은행은 연간 가계대출 한도를 초과한 상태로, 은행권에 이어 보험사 등 2금융권까지 대출 창구를 닫는 분위기다.

금융권 관계자는 “일반 주담대 증가 폭은 크게 줄었지만, 중도금 집중과 주식 투자 수요로 신용대출이 늘어나 전체 가계대출 잔액이 확대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서정혜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