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분산에너지특구 지정 보류…재심의 예정

2025-11-06     석현주 기자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 제정 과정에서 주도적 역할을 해온 울산시가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선정에서 고배를 마셨다.

울산의 모델이 LNG 기반 발전이라는 점이 친환경 에너지 정책 기조와 맞지 않는다는 이유에서다. 그러나 울산시는 분산에너지 제도의 본래 목적이 중앙집중형 전력체계를 ‘지산지소(地産地消)’ 체계로 바꾸는 데 있는 만큼 울산이야말로 가장 적합한 지역이었다는 입장이다.

기후에너지환경부는 5일 에너지위원회를 열고 전남, 제주, 부산, 경기 등 4곳을 분산에너지 특화지역으로 선정했다.

울산시는 최종 후보지에 올랐지만 이번 대상지에는 포함되지 못했다. 기후에너지부는 추가 논의를 거쳐 차기 위원회에서 울산을 재심의할 예정이다. 울산시 미선정의 핵심 이유는 LNG 기반 발전 방식이다. 일부 위원들이 LNG를 발전원으로 사용하는 지역을 특구로 지정하는 것은 친환경 정책 방향과 어긋난다는 의견을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전남·제주 등 선정 지역은 태양광과 ESS 등 재생에너지 중심의 모델을 내세웠고 심의를 통과했다.

분산에너지 특구는 에너지를 사용할 곳에서 에너지를 생산하는 이른바 ‘지산지소(地産地消)’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도입됐다. 해안에 대형 발전소를 짓고 여기서 생산한 전기를 대규모 송전망으로 수도권과 대도시들에 공급하는 현재 중앙집중식 에너지 공급체계가 일으키는 문제를 완화하는 데 목적이 있다.

특구로 지정되면 사업자는 전력시장을 거치지 않고 수요자에게 전력을 직접 판매할 수 있으며, 지역별 차등요금제 적용도 가능해 지역 산업 경쟁력 향상에 도움이 된다. 울산시는 이를 기반으로 데이터센터 등 대용량 전력 수요 기업을 적극 유치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해 왔다.

울산 모델은 지역 발전사 SKMU가 LNG·LPG 열병합발전으로 생산한 300㎿급 전력을 울산 미포국가산단 석유화학 기업 등에 직접 판매하는 구조다. 지역별 차등요금제를 적용하면 연간 약 100억원의 전기요금 절감 효과가 예상된다. 수요기업도 초기 8개에 불과했지만 AI 데이터센터 등 9개가 추가돼 풍부하다.

무엇보다 울산은 즉시 전력공급이 가능한 인프라와 안정적 연료 공급망을 갖춘 점, AI·반도체·이차전지 등 대규모 전력 수요 산업 육성에 유리한 점이 강점으로 평가돼 왔다.

울산시는 재심의를 앞두고 연료 전환 가능성과 재생에너지 확대 계획을 보완해 설득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SKMU 발전소가 LNG·LPG 혼용은 물론 수소 활용도 가능한 만큼 단계적으로 재생 비중을 높이는 로드맵을 제시하겠다는 것이다.

울산시 관계자는 “법 제정 단계부터 울산은 분산에너지 제도의 도입과 안착을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해 왔다”며 “다음 심의에서 논리를 보완해 제도의 취지에 부합하는 지역으로 인정받을 수 있도록 총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석현주기자 hyunju021@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