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울산 삶의 질 향상, 통계 너머 ‘체감정책’으로 가야

2025-11-10     경상일보

울산시가 발표한 ‘2025년 사회조사’ 결과는 시민의 삶이 전반적으로 개선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보육환경 만족도가 2021년 22.0%에서 올해 55.7%로 두 배 이상 상승했다. 국공립 어린이집 확충, 보육료 지원, 돌봄 서비스 개선 등 실질적인 정책이 시민 체감으로 이어진 결과다. 청년정책과 공공행정, 고용환경 만족도도 전반적인 상승세를 보였으며, ‘울산에 계속 살고 싶다’는 응답은 65%로 전년보다 2.8%p 늘었다. 삶의 질이 한 단계 높아지고 있다는 점에서 반가운 변화다.

‘최근 자신의 삶에 대한 만족도’를 묻는 질문에는 48.2%가 ‘만족하는 편(6점 이상)’이라고 답했고, 39.6%는 ‘보통(5점)’, 12.3%는 ‘불만족(4점 이하)’이라고 응답했다. 전체 평균은 6.0점으로, 2023년과 동일한 수준이다. 그러나 세부적으로 보면, 60대 이상은 평균 5.8점 이하로 50대 이하보다 낮은 만족도를 보였고, 학력이 높을수록, 월평균 가구소득이 많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아지는 경향이 확인됐다. 이는 울산의 복지정책이 여전히 연령과 소득, 교육 수준에 따라 체감도가 달라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여가와 문화생활에 대한 만족도도 여전히 낮았다. 시민의 70% 가까이가 ‘동영상 콘텐츠 시청’을 주요 여가활동으로 꼽았고, ‘여가시설 부족’이 불만족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됐다. 이는 물리적 시설의 절대 수보다 접근성과 참여 기회가 제한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생활권 가까이에서 즐길 수 있는 공공문화공간과 시민 주도형 프로그램을 확충해야 한다. 산업도시의 이미지를 넘어 문화와 여가가 공존하는 도시로의 전환이 필요한 시점이다.

보육환경 개선은 분명한 성과지만, 출산 의향은 여전히 낮다. 40대 이하 시민 중 자녀를 가질 의향이 있다는 응답은 27.1%에 그쳤다. ‘현재 자녀 수에 만족한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으나, ‘경제적 부담’과 ‘양육 부담’이 여전히 높은 순위를 차지했다. 이는 울산이 보육환경 개선이라는 1단계를 넘었지만, 출산율 제고라는 근본 목표까지는 아직 갈길이 멀었음을 보여준다.

이번 사회조사는 울산시 정책의 성과와 한계를 동시에 드러냈다. 청년정책과 공공행정의 신뢰도는 높아졌지만, 연령·소득·문화 영역의 불균형은 여전히 남아 있다. 울산의 다음 과제는 ‘삶의 질의 균형’이 돼야 한다. 복지와 경제, 문화가 함께 성장해야 시민의 만족이 실질적 행복으로 이어진다. 더 세밀한 정책 설계와 취약계층 중심의 지원, 생활문화 인프라 확충이 그 해답이다. 수치에 가려진 시민의 현실을 읽어내는 일, 그것이 진정한 사람 중심 행정의 출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