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관세 장벽과 탄소규제 압박, 새해 울산 경제 경고등
내년 울산 수출 전망에 먹구름이 드리웠다. 한국경제인협회가 발표한 ‘2026년 수출 전망 조사’에 따르면, 내년 우리나라 전체 수출은 올해보다 0.9% 증가에 그칠 것으로 보인다. 올해 전망치 1.4%에도 못 미치는 수치다. 제조업 중심의 울산은 그 충격이 더 크다. 자동차, 철강, 자동차부품, 석유제품 등 주력 산업 대부분이 감소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선박과 석유화학만 소폭 반등이 전망될 뿐이다.
기업들이 꼽은 수출 부진 원인은 ‘관세 등 통상환경 불확실성’이다. 미국의 관세 인상 이후 주요 업종의 매출과 영업이익이 3~9% 감소했다. 현행 관세율이 자동차·부품 25%, 철강·알루미늄·구리 50% 수준인 현실에서 수출기업 부담은 결코 가볍지 않다. 여기에 환율 불안까지 겹쳤다. 최근 원·달러 환율은 달러당 1500원을 위협하고 있고, 미국 공항에서는 2100원에 거래될 정도로 변동성이 크다. 환율 급등은 단기 수출에 도움이 되지만, 원자재 수입비용 상승으로 기업 채산성을 악화시키는 부메랑이 된다.
울산 산업계를 짓누르는 또 다른 압박은 강화된 온실가스 감축 목표다. 정부는 2035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2018년 대비 53~61% 줄이도록 설정했다. 이른바 ‘탄소폭탄’이 투하된 셈이다. 울산은 연간 배출량 4366만t의 대표적 에너지 다소비 도시로, 대부분 제조·에너지 부문에서 발생한다. 이미 ‘마른수건 짜기’식 감축을 이어온 기업들로서는 공정 개선과 설비 투자, 생산축소가 불가피하다. 이는 곧 비용 증가와 경쟁력 저하로 이어진다.
제조 기업들은 안으로는 ‘탄소중립’ 압박, 밖으로는 ‘보호무역 강화와 환율 불안’이라는 다중고 속에서 한계 상황에 봉착했다. 수출기업 10곳 중 7곳이 채산성 악화를 우려한다. 특히 석유제품, 철강, 자동차와 차부품 등 울산의 주력 업종 대부분 비관적 전망을 내놓고 있다. 같은 양을 수출해도 이익이 줄어드는 구조가 지속된다면, 지역 산업 기반은 급속히 약화될 수밖에 없다.
정부와 지자체, 산업계의 전략적 대응이 중요하다. 정부는 통상협정을 적극 추진하고, 외환시장 안정화와 세제 지원으로 기업 부담을 완화해야 한다.
울산도 산업 구조 전환 속도를 높여야 한다. AI, 이차전지, 친환경 차와 선박 등 탄소 저감형 신산업으로의 전환을 서둘러야 한다. 관세 장벽과 기후 위기라는 복합 위기를 극복할 때, 울산 제조업은 다시 세계 시장의 중심으로 도약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