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착한가격업소 유지 제도적 뒷받침 필요
2025-11-12 김은정 기자
11일 울산시에 따르면 올해 기준 착한가격업소로 지정된 곳은 총 246곳으로, 불과 2년 전인 2022년 109곳에 비해 두 배 이상 증가했다.
울산시 관계자는 “물가 상승 압박 속에서도 시민에게 저렴한 가격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소들이 늘고 있다”며 “특히 지난 2023년부터 국비 지원이 본격화되면서 신청이 크게 늘었다”고 설명했다.
착한가격업소 제도는 정부와 지자체가 물가 안정과 지역 상생을 위해 운영하는 사업으로, 지정 업소에는 인증마크 부착과 함께 각종 지원이 제공된다. 과거에는 지자체 자체 예산만으로 운영돼 실질적 혜택이 크지 않았지만, 최근 정부 예산이 투입되면서 참여 분위기가 달라졌다.
시는 2021년까지만 해도 업체당 연 15만원가량을 지원했지만, 지난 2023년부터 국비가 포함되면서 지원 규모가 대폭 확대됐다. 올해는 업체당 약 85만원 수준으로 늘었다. 각 구·군을 통해 온누리상품권이나 필요 물품 제공 등의 형태로 지원이 이뤄지고 있다.
남구에서 식당을 운영하는 한 상인은 “주변 단골손님들이 많아 가격을 마음대로 올릴 수 없는 동네 장사인데, 지인의 권유로 착한가격업소를 신청했다”며 “지원금 덕분에 재료비 부담을 조금 덜 수 있고, 울산페이 할인도 있어 손님 반응이 좋다”고 말했다.
하지만 등록 업소가 급격히 늘면서 예산이 분산돼, 업소당 지원금이 오히려 줄어드는 현상도 나타나고 있다. 시 자료에 따르면 2023년에는 업체당 평균 약 76만원이 지원됐지만, 등록 업체가 배로 늘어난 지난해에는 47만원으로 줄었다.
등록이 늘어난 만큼 탈락이나 취소 사례도 함께 증가하고 있다. 울산에서는 지난해 폐업, 가격 인상, 프랜차이즈 전환 등을 이유로 9건의 등록취소가 발생했다. 올해는 10월까지 이미 16건이 취소됐다.
현재 울산시는 각 구·군의 개별 지원 외에도 착한가격업소에 대해 소상공인 경영환경개선사업 신청시 우대 가점을 부여하고, 울산페이 결제 시 5% 캐시백 혜택을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가점제도나 혜택을 인지하지 못하는 상인들이 여전히 많아 홍보 강화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울산시 관계자는 “착한가격업소들이 꾸준히 유지될 수 있도록 제도적 지원을 강화하고, 시민들이 적극 이용할 수 있도록 홍보를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글·사진=김은정기자 k2129173@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