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국제회의복합지구’ 지정, 전략적 접근을”
2025-11-13 석현주 기자
12일 울산연구원은 울산경제사회브리프 제176호를 통해 울산시가 ‘국제회의복합지구’ 지정을 위해 장기적 관점에서 단계적 보완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현재 국내에서는 고양, 광주, 인천, 대구, 부산, 경주, 대전 등 7곳이 국제회의복합지구로 지정돼 있다. 이들 지역은 정부의 활성화 지원을 통해 국제회의산업 기반을 확충하고, 집적시설을 중심으로 지역 산업 발전 효과를 거두고 있다.
울산은 지난 4월 군산·여수·원주와 함께 ‘예비 국제회의지구’로 선정됐다. 이에 따라 산업도시를 넘어 글로벌 전시·컨벤션 도시로 도약할 기반을 마련했으며, 홍보와 관광상품 개발, 인프라 구축 등을 위해 최대 3년간 국비와 지방비를 지원받게 된다.
보고서를 작성한 박소희 울산연구원 경제산업연구실 박사는 “울산전시컨벤션센터(UECO) 개관으로 전문회의시설 요건은 충족했지만, 외국인 참가실적과 숙박·판매·교통시설 등 집적·편의시설 측면에서의 보완이 필요하다”며 “국제회의복합지구 지정을 위해 울산시와 지역 MICE 업계가 전략적으로 접근해야 한다”고 말했다.
특히 외국인 참가 실적 제고를 위해 2028울산국제정원박람회와 연계한 ‘글로벌도시 관광진흥기구 포럼’ 유치사례를 언급하며, “수소·에너지·조선해양·자동차 등 울산의 특화산업과 생태·문화·관광 자원을 연계한 국제행사를 지속적으로 확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소희 박사는 “국제회의복합지구 지정은 울산이 산업도시에서 글로벌 마이스 중심도시로 도약할 중요한 계기”라며 “정책·행정적 지원체계 구축이 뒷받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석현주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