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작물 인기에도 재배농가수는 뒷걸음
2025-11-13 김은정 기자
울산시는 학생과 시민에게 안전한 먹거리를 제공하기 위해 친환경 급식을 적극 추진하고 있지만 지역 생산 기반이 부족해 애를 먹고 있다.
12일 본보 취재를 종합하면, 일반적으로 친환경 농산물 인증은 우수 농산물(GAP) 인증보다 절차가 까다롭다. 농약과 화학비료를 전혀 사용하지 않아야 하는 것은 물론, 농업용수의 수질검사와 영농일지 작성 등 세부 관리도 철저히 이뤄져야 한다. 여기에 최근 인증 유효기간이 2년에서 1년으로 단축되면서 농민들은 매년 복잡한 재인증 절차를 반복해야 하는 부담까지 떠안고 있다.
시는 친환경 농업의 유지와 확산을 위해 친환경 장려금과 농자재 지원사업 등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재배만 가능하다면 판로가 확실히 보장돼 경제성이 충분하다는 평가도 있지만, 현실은 녹록지 않다.
울주군 재배농가는 지난 2023년 140농가(82.4㏊)에서 지난해 125농가(79.4㏊)로 줄었고, 북구는 20농가 내외(12~13㏊)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가장 큰 문제는 친환경 급식 등 수요가 꾸준히 늘고 있음에도 까다로운 인증 절차와 높은 농지 가격, 기후 불안정 등으로 지역 농가들이 친환경 재배를 포기하거나 일반 농업으로 되돌아가 공급 기반이 점점 약화되고 있다는 점이다.
강동에서 15년째 친환경 농업을 이어오고 있는 정두식씨는 “기후가 불안정해 인력을 더 투입해야 하는데 인증 규정은 점점 까다로워지면서 이탈하는 농가가 많다”며 “요즘은 다들 관행 농업으로 돌아서는 추세”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도 “아이들 급식에 도움이 된다는 보람 하나로 이어가고 있다”고 덧붙였다.
농가들에 따르면 어렵게 재배에 성공하더라도 작물의 모양이 일정하지 않거나 크기가 들쭉날쭉해 일반 농산물보다 오히려 낮은 가격에 거래되는 경우도 많다. 올해처럼 기후가 불안정한 해에는 수확량도 크게 줄어 수익성이 떨어지다 보니 농민들 사이에서는 ‘고생은 두 배, 소득은 반’이라는 말까지 나온다.
특히 친환경 농업은 집단화·단지화가 돼야 효율적 운영이 가능하지만, 울산처럼 농지 가격이 높은 도시 지역에서는 대부분 일반 농지 사이에 소규모로 흩어져 이뤄진다. 이 때문에 인근 농가에서 살포한 농약이 바람을 타고 날아와 작물에 잔류물이 검출돼 인증이 취소되는 사례도 발생한다.
그럼에도 시의 친환경 농산물 수요는 앞으로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내년부터 임산부 친환경 농산물 지원사업이 새롭게 추진될 예정으로, 시는 5년 내 친환경 농산물 생산 농가를 두 배로 늘리겠다는 목표를 세우고 추진 중이지만 현장의 상황은 목표와는 다소 거리가 있다.
울산시 관계자는 “친환경 농산물 수요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지만, 기후 여건과 인증 절차 등으로 농가들이 쉽게 뛰어들지 못하고 있다”며 “장려금과 다양한 친환경 영농자재 지원을 병행해 친환경 농업 기반을 안정적으로 확충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글·사진=김은정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