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앞바다 수중데이터센터, 2030년까지 모형 개발 속도

2025-11-14     석현주 기자
울산 앞바다에 친환경 수중 데이터센터 단지를 조성하기 위한 연구가 속도를 낸다.

울산시는 13일 시청 대회의실에서 ‘수중 데이터센터 구축모형(모델)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본격적인 기술 개발 체계에 돌입했다.

이번 협약은 울산 앞바다 해저 수심 20m 지점에 서버 10만대 규모의 수중 데이터센터를 구축하기 위한 원천기술 확보를 목표로 한다.

설계·시공부터 운영·유지관리까지 통합 모델을 개발해 국내 최초의 해저 데이터센터 단지 조성 기반을 마련하려는 것이다.

협약식에는 김두겸 울산시장과 이희승 한국해양과학기술원장을 비롯해 한국수력원자력(주), 엘에스일렉트릭(LS ELECTRIC)(주), (사)한국냉동공조시험연구원, (주)삼화에이스, (주)에드벡트, (주)우원엠앤이, (주)유니온 등 9개 기관·기업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역할 분담도 구체화됐다. 한국해양과학기술원은 연구사업 총괄과 핵심 원천기술 개발을 맡고, UNIST는 해저지반 안정화 기술을 연구한다. 한국수력원자력(주)은 전력 공급 및 제어 최적화를, 엘에스일렉트릭은 전력망과 통신기술 개발을 담당한다.

또 한국냉동공조시험연구원·(주)삼화에이스·(주)우원엠앤이는 냉각 기술 공동개발에 나서며, (주)에드벡트는 시공기술을, (주)유니온은 외부 구조체 제작을 맡는다. 시는 실증 부지 제공과 행정 지원을 통해 사업 추진 기반을 마련한다.

시는 이번 협약을 계기로 2030년까지 수중 데이터센터 구축모델 개발을 완료하고, 2031년부터 상용화 가능한 해저 데이터센터 단지 조성에 나설 계획이다.

이날 협약식 직후 열린 ‘수중 데이터센터 구축 기술 토론회’에서는 관련 분야 전문가들이 기술 동향과 개발 방향을 논의했다.

토론회에서는 △냉각에너지 효율화 전략 △AI 시대의 데이터센터 냉각 인프라 변화 △국내·외 선행사례 분석 및 개념설계 도출 등 다양한 주제가 다뤄졌으며, 한택희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책임연구원 등 4명의 전문가가 패널 토론에 참여했다. 시는 수중 데이터센터가 기존 지상형 대비 냉각에너지 40% 절감, 탄소배출 감소, 데이터 처리속도 향상 등 친환경·고효율 장점을 갖춘 차세대 디지털 인프라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김두겸 울산시장은 “울산의 해양 인프라와 산업 역량을 결합해 대한민국형 수중 데이터센터 구축모델을 완성하겠다”며 “산업과 환경이 조화를 이루는 지속가능한 AI 수도 울산으로 도약하겠다”고 말했다.

석현주기자 hyunju021@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