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중국의 추월’ 현실화…울산 산업전환 없인 생존 어렵다
2030년이면 국내 10대 수출 주력업종 대부분이 중국과의 경쟁에서 우위를 잃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한국경제인협회가 17일 발표한 ‘한·미·일·중 경쟁력 현황 및 전망 조사’보고서는 전통 제조업 중심의 울산 산업이 처한 구조적 위기를 적나라하게 드러낸다.
특히 보고서에서 경쟁력 약화가 예상된 업종이 철강, 조선, 석유화학, 자동차, 배터리 등으로 나타났는데, 대부분 울산 주력 산업의 기반과 겹친다. 이는 울산경제에 사실상 ‘직격탄’과 다름없다.
조사 결과 국내 10대 주력 산업 가운데 철강, 일반기계, 이차전지, 디스플레이, 자동차·부품 등 5개 업종은 이미 중국에 경쟁력을 추월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도체, 전기·전자, 선박, 석유화학·석유제품, 바이오헬스 등 5개 업종은 근소한 경쟁 우위를 유지했다. 그러나 2030년에는 이마저도 중국에 뒤처질 것이라는 충격적인 전망이다. 가격 경쟁력과 생산성, 정부의 지원을 앞세운 중국 제조업 굴기 아래 한국 제조업이 사면초가에 놓여 있다는 의미다.
이러한 결과를 제조업 수출 중심의 산업구조를 가진 울산의 현실과 겹쳐 보면 미래 전망은 더욱 어둡다. 울산의 수출기업들 역시 제품 경쟁력 약화, 인구 감소에 따른 내수 침체, 핵심 기술인력 부족, 경직된 노동시장 등 구조적 어려움에 직면해 있다. 무엇보다 청년층 유출의 가속화는 울산의 지속가능성을 흔드는 취약점이다.
이 위기 신호가 말해주는 것은 울산 산업의 생존이 결국 ‘구조 전환’에 달려 있다는 점이다. 자동차·조선·석유화학·배터리 등 울산의 핵심 산업은 가격과 생산성이 곧 경쟁력을 좌우하며, 이를 확보하지 못하면 생존 자체가 위태로워질 수밖에 없다. 따라서 울산이 다가올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미래 산업으로의 본격적인 구조 전환이 필수다.
자동차·조선·석유화학 등 주력 업종에 디지털 전환과 스마트 제조 기술을 접목해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해야 한다. 또 전고체 배터리·수소·청정에너지 등 성장 잠재력이 높은 분야에 대한 선제적 투자 유치와 연구 인프라 확충이 필요하다.
울산은 최근 분산에너지특구 지정이 보류되면서 산업 대전환의 동력이 약화되고 있다. 분산 에너지 특구는 울산 산업 구조전환의 출발점이다. 정부는 조속히 재심의를 통해 연내 울산을 분산에너지 특구로 지정할 것을 다시 한 번 촉구한다. 또 다음달 울산 타운홀미팅에서 발표될 ‘산업수도 울산 발전 청사진’에 대통령의 울산 산업 전환 전략과 이에 대한 국가 차원의 지원이 담기길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