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화력 참사 원인규명 전방위 조사 속도

2025-11-19     이다예 기자
한국동서발전 울산발전본부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붕괴 사고 12일 만에 전방위 조사가 본격화했다. 경찰과 고용노동부 등은 합동감식에 나섰고, 국토교통부는 사고조사위원회를 구성하는 등 사망자 7명이 발생한 대형 참사 원인 규명에 속도가 붙고 있다.

울산경찰청 전담수사팀, 경기남부경찰청 중대재해전담 과학수사팀, 국립과학수사연구원, 고용노동부, 산업안전보건공단 등은 18일 오후 2시부터 오후 4시30분까지 울산화력발전소 붕괴 사고 현장에서 합동감식을 벌였다.

감식팀이 가장 먼저 확인한 부분은 무너진 보일러 타워 5호기의 높이 25m 지점 구조물이다. 사고 당시 작업자들은 25m 지점에서 보일러 타워를 한 번에 발파하기 위해 기둥 등을 미리 잘라놓는 사전 취약화 작업 중이었다.

감식팀은 CCTV 확인 결과 이 지점에서 압력 하중을 견디지 못하고 철골이 휘어지며 붕괴됐을 것으로 본다. 이에 해체계획서·구조검토서대로 작업이 제대로 이행됐는지, 시공 순서·범위가 계획과 동일했는지 등을 살피고 있다.

특히 감식팀은 사전 취약화 작업이 100% 완료됐던 4호기와의 비교 분석도 하고 있다. 5호기 철골 두께와 무게 등을 확인하는 등 4호기와 동일하게 작업이 수행됐는지가 감식 주요 검증 내용이 될 전망이다.

다만 감식은 쉽지 않은 상황이다. 5호기 붕괴 이후 4·6호기 발파가 이뤄져 잔해가 쌓여있는 데다, 매몰자 수습·구조 과정에서 현장 일부가 훼손됐기 때문이다. 단서가 될 25m 지점 구조물은 여전히 매몰돼 있는 상태다. 우선 중장비를 동원해 구조물을 파내며 감식하고 있다.

감식 과정에서 확보한 영상과 사진 등 관련 자료는 국립과학수사연구원으로 이송돼 정밀 분석에 들어갔다. 합동감식팀은 이날 감식 결과를 토대로 추가 정밀 감식 등을 검토할 방침이다.

하태헌 울산경찰청 과학수사계장은 이날 현장 브리핑에서 “현장 안전을 위해 추가 붕괴 위험이 있는 구역은 접근하지 않고 쓰러진 5호기 반대편 안전지대에서 감식을 실시했다”며 “감식은 취약화 작업 당시 구조검토서대로 이행됐는지를 확인하는 수준에서 진행했으며, 현재는 의견 수준의 분석만 가능한 단계”라고 설명했다.

합동감식 시작에 따라 발주처인 한국동서발전과 시공사인 HJ중공업, 도급사 코리아카코 등에 대한 압수수색 등 강제수사도 조만간 이뤄질 전망이다. 경찰은 매몰자 수색 작업이 완료된 이후 일부 핵심 관계자를 참고인 자격으로 소환해 조사했으며, 추가 소환 조사도 할 계획이다.

국토부는 사고 원인을 규명하고 유사 사고 재발을 방지하기 위해 사고조사위원회(사조위)를 가동했다. 사조위는 사전 절차 및 설계·구조 검토와 하도급 선정·관리의 적정성, 공사 주체별 의무 이행 여부 등을 확인한다. 재발 방지 대책도 마련한다.

글·사진=이다예기자 ties@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