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1500원 위협 고환율 쇼크, 실물경제 충격 막아야

2025-11-20     경상일보

원화 약세에 따른 고환율 충격이 수출 주도형 울산 경제를 강하게 압박하고 있다. 원·달러 환율은 1500원대를 위협하며, 사실상 ‘환난(換亂)’을 방불케 하고 있다. 연말로 갈수록 미국의 고금리와 달러 강세, 수출 부진, 외국인 자금 이탈이 겹치면서 환율 불안은 위험 수위를 넘어섰다. 원재료와 중간재를 수입하는 기업들은 감당하기 어려운 비용 부담에 직면하며 경영 활동에 큰 제약을 받고 있다.

19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1465.6원으로 마감했다. 올해 평균 환율도 IMF 외환위기 직후를 넘어선 1415원까지 상승했다. 이에 내년도 사업계획을 수립하는 기업들의 고심이 깊어지고 있다.

전통적으로 환율 상승은 자동차·조선·석유화학 등 울산의 주력 산업에 우호적 요인으로 작용해왔다. 그러나 최근에는 원자재와 중간재 가격 급등으로 환율 효과가 상쇄되면서 ‘고환율=호재’라는 공식은 더 이상 유효하지 않다.

현대자동차의 3분기 보고서에 따르면 원·달러 환율이 5% 상승하면 법인세 차감 전 순이익이 1517억원 증가한다. 환율상승 등으로 HD현대중공업의 3분기 순외화 자산 가치는 3조1265억원으로 전 분기보다 8700억원 증가했다. 그러나 구리와 강관 등 원재료 가격 상승과 환율 변동성에 더 민감해진 재무 구조가 새로운 리스크로 작용하고 있다.

고환율로 가장 큰 타격을 입은 업종은 정유와 비철금속이다. SK이노베이션은 3분기 환율이 10% 오르면 순이익이 1544억원 감소하며, 고려아연은 2320억원의 순이익 감소가 예상된다. 원유·납사·정광 등 달러로 결제되는 핵심 원재료 비용이 상승하면서, 수익성이 급격히 악화되는 위기에 직면했다.

환헤지 능력이 부족한 중소기업은 더욱 취약하다. 고환율로 피해를 본 기업이 절반을 넘어선 반면, 이익을 본 기업은 10%대에 불과하다.

고환율은 가계에도 직격탄이다. KDI에 따르면 환율이 1%p 오를 때 소비자물가는 0.04%p 상승한다. 원재료와 중간재 값의 상승이 수입물가를 자극하고, 이는 장바구니 물가로 전이된다. 이는 소비 여력을 위축시키며 경기 냉각으로 이어지는 악순환을 만든다.

지금 필요한 것은 정부와 금융당국의 단호하고 선제적인 대응이다. 시장 안정 신호를 명확히 제공하고, 환율 변동 완충 장치를 강화하며, 중소기업의 환리스크를 실질적으로 지원해야 한다. 미온적 대응으로 고환율 충격이 또 다른 ‘경제 재난’으로 번지는 최악의 시나리오는 막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