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울산 5대 교통정책, 대중교통의 새 판 짜기
2025-11-21 이애정
정책의 중심은 도심철도망 재편이다. 울산시는 신복교차로~진장권역을 잇는 ‘혁신도시선’을 새로 신설하고, 2호선은 농소와 국가산단 간 이동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노선을 조정했다. 동구 방면 3·4호선은 단선으로 전환해 사업비를 줄이고 사업 실현 가능성을 강화했다. 착공을 앞둔 트램 1호선과 맞물려 전체 철도망을 현실적으로 구성하는 기반을 마련한 셈이다.
울산 내부의 재배치와 함께 외부 연결축 강화도 병행된다. 울산역에서 부산·양산·김해·창원으로 이어지는 광역철도망이 완성되면 울산은 동남권 이동의 중심축으로 올라선다. 북울산역 연장, 태화강역의 KTX·이음·SRT 확대 계획까지 더해지면 울산은 더 이상 교통의 종착지가 아니라 연결의 허브가 된다. 산업도시의 경쟁력은 이동 시간을 줄이고 통근권을 넓히는 데서 나온다는 점에서 이 변화는 매우 크다.
생활 이동의 문턱을 낮추는 정책도 포함됐다. 부산·양산·김해와의 부울경 통합 환승체계가 도입되면 행정 경계를 넘는 단일 생활권이 형성된다. 교통카드 한 장으로 광역권을 빠르게 이동할 수 있게 되면 시민의 일상 동선과 경제 활동 반경이 달라진다. 광역경제권 구상도 교통 연계가 갖춰져야 비로소 현실이 된다. 버스 무료 이용 연령을 75세에서 70세로 낮추고, 바우처 택시 지원을 80세 이상까지 확대하는 조치도 고령사회에 대응한 이동복지 개선이다.
그러나 정책의 성패는 결국 실행이다. 도시철도는 노선별 경제성, 국토부 승인, 지역 간 조정이라는 높은 문턱을 넘어야 한다. 광역철도는 인접 지자체·정부와의 협력이 필수이고, 환승체계는 기술 통합보다 운영주체 간 합의가 더 큰 난관이다. 교통 인프라는 시간과 재정을 요구하는 만큼, 추진 순서와 재정 계획을 촘촘하게 설계해야 한다.
울산시의 교통정책이 던지는 메시지는 분명하다. 버스 중심 체계만으로는 더 이상 도시의 미래를 감당하기 어렵다는 판단이다. 산업과 생활의 시간을 줄이고, 생활권과 통근권을 확장하는 교통정책은 도시 경쟁력의 핵심이다. 이번 5대 교통정책이 울산 교통의 체질을 바꾸는 실질적 전환점이 되길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