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경주박물관-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말, 갑옷을 입다’ 특별전

신라·가야·백제 ‘삼국시대 말 갑옷’ 한자리서 만난다

2020-06-11     홍영진 기자

쪽샘지구 C10호서 출토된
말 갑옷·재현품 140여점
말 투구도 최초 공개 눈길
오늘부터 8월23일까지
국립경주박물관 전시관
관람은 온라인 사전 예약제


신라와 가야, 백제 지역에서 출토된 말 갑옷과 고구려 고분벽화 속 말 갑옷 등 고대 삼국의 말 갑옷을 처음으로 한자리에서 만난다. 국립경주박물관(관장 민병찬)과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소장 이종훈)가 12일부터 8월23일까지 국립경주박물관 특별전시관에서 ‘말, 갑옷을 입다’를 공동개최한다.

전시장에는 경주 쪽샘 C10호 출토 말 갑옷 및 재현품, 함안 마갑총 출토 말 갑옷(보물 제2041호), 경주 계림로 1호 등에서 조각 상태로 나온 6점, 말 투구 10점, 공주 공산성 출토 옻칠 말 갑옷, 도기기마인물형각배(국보 제275호) 등 140여 점이 선보인다.

일제강점기인 1934년 경주 황남동에서 우리나라 최초로 말 갑옷이 확인된 이후 지금까지 신라, 가야, 백제 시대의 말 갑옷이 전국에서 여러 점 출토되었지만 온전한 형태로 확인되는 경우는 드물었다. 그러다가 1992년 함안 마갑총, 2009년 경주 쪽샘지구 C10호에서 나온 완전한 형태의 말 갑옷이 고대 삼국의 말 갑옷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의 계기가 됐다.

전시는 크게 3부로 구성한다.

1부 ‘신라 귀족들의 안식처, 쪽샘지구’에서는 쪽샘지구 C10호에 대한 간략한 소개와 함께, 10년간의 보존처리를 마친 말 갑옷과 재현품을 전시하였다.

또한, ‘신라의 말 갑옷’을 주제로 황남동 109호와 계림로 1호에서 출토된 말 갑옷도 각각 1934년과 1973년에 발굴된 이후 처음으로 일반에 공개된다.

2부 ‘가야·백제의 말 갑옷’에서는 먼저, 동아시아에서 최대 수량을 자랑하는 가야의 말 갑옷을 소개한다.

함안 마갑총에서 나온 말 투구와 좌·우측 말 갑옷이 처음으로 함께 전시되며, 부산·김해·합천 등에서 출토된 말 갑옷을 소개하여 신라와 다른 가야의 다양한 말 갑옷에 대해 알 수 있는 자리이다. 아직까지 백제지역에서 출토된 말 갑옷이 소수에 불과하지만, 공주 공산성에서 우리나라 최초로 옻칠을 한 가죽 말 갑옷이 출토되어 주목받은 바 있다. 이번 전시에서는 옻칠 말 갑옷과 함께 지금까지 한 번도 공개된 적이 없는 말 투구도 공개된다.

3부 ‘고구려 고분벽화 속 중장기병’에서는 고구려 고분벽화에 투영된 고대 중장기병(철기병)의 여러 모습을 살펴볼 수 있도록 하였으며, 영상으로도 제작해 관람객의 이해를 돕는다.

전시관람은 온라인 사전 예약제로 운영된다. 현장접수(300명 내외)도 받는다. 마스크 착용 필수, 발열 확인(37.5도 이상 입장 불가), 안전거리(1m) 유지와 100명씩 입장 제한, 단체관람객 입장 제한 등 수칙을 지킬 때 입장 및 관람가능하다. 홍영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