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6일 국회 복귀…여야 극한대치 예고

인사청문회 철저 검증 벼려
윤미향·남북관계 국조 요구
민주, 수용불가 입장 확고
공수처·일하는 국회법 등
쟁점법안 둘러싼 충돌 전망

2020-07-05     김두수 기자
7월 임시국회가 6일부터 의사일정에 돌입할 예정인 가운데 여야는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 출범을 비롯해 일하는 국회법 등 쟁점법안을 놓고 또다시 충돌할 것으로 보인다.

통합당 주호영 원내대표는 5일 국회에서 기자 간담회를 갖고 “내일부터 국회 본회의와 상임위에 참석해 원내 투쟁을 본격화하기로 했다”고 했다.

주 원내대표는 통합당 상임위원 명단을 6일께 제출할 수 있을 것이라며 “더불어민주당의 제안이 오면 의사 일정과 관련해 협의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주 원내대표는 또 박지원 국정원장 후보자와 이인영 통일부 장관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회는 보이콧하지 않고 오히려 “철저히 검증해 부적격자를 가려내는 데 집중하겠다”고 강조했다.

특히 국정원장 인사청문회와 관련해선 정보위 구성을 위해 현재 공석중인 통합당 몫 부의장 문제를 논의해서 결정하겠다고 했다.

주 원내대표는 국회 복귀와 함께 국정조사와 특검을 요구했다.

그는 “문재인 대통령이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에게 전했다는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1년 내에 완전한 비핵화를 하겠다고 약속했다’는 거짓말과 위안부 할머니들을 사리사욕의 미끼로 삼은 윤미향씨의 치졸한 행태에 대해 국정 조사를 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또 이른바 ‘검언 유착’ 사건에 대해 “법무부 장관과 검찰총장, 현직 검사장들이 뒤엉켜서 싸우고 있다”면서 “특검을 발동시켜 해결하겠다”고 말했다. 또 한명숙 전 총리 재수사 소동, 울산 선거 부정사건, 법무부 장관과 여권의 윤석열 검찰총장 몰아내기에 대해서는 “국회에서 반드시 진상을 규명하겠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민주당은 이날 미래통합당의 ‘윤미향 및 남북관계 국정조사’ 요구에 대해 수용 불가 입장을 분명히 했다. 민주당 홍정민 원내대변인은 이날 기자간담회를 갖고 “정의기억연대는 수사 중인 상황이라 국정조사 대상이 될 수 없다. 남북관계를 비롯한 통합당이 요청한 다른 사안은 국회 상임위를 통해서도 충분히 질문과 답변이 가능하다”고 했다.

그는 여야가 원 구성 협상 과정에서 국조 및 청문회를 논의한 데 대해선 “원만한 원 구성을 위해 무리한 요구임에도 논의됐던 것”이라고 했다.

홍 원내대변인은 검언유착 의혹과 관련한 통합당의 특검 추진에 대해서도 “특검 부분은 상황을 더 지켜볼 예정”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와 관련, “민주당은 법정 시한인 15일에 맞춰 출범될 수 있도록 법대로 진행하고 있다. 공수처법 개정은 아직 검토하고 있지 않으며 통합당의 비협조로 출범이 늦어질 경우에는 그때 가서 생각해볼 것”이라고 했다.

김두수기자 dusoo@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