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민, 긴급재난지원금 지출 절반 ‘식비’
서범수 “재확산에 소비 위축”
지역 경제 활성화 대책 촉구
2020-07-15 이형중 기자
15일 미래통합당 서범수(울산울주·사진) 의원이 행정안전부로부터 제출받은 ‘지자체별 긴급재난지원금 사용 현황’에 따르면 신용·체크카드 충전금으로 지급된 긴급재난지원금 중, 지난 5월11일부터 6월14일까지 울산시민이 사용한 긴급재난지원금은 총 1996억원으로 확인됐다.
긴급재난지원금 사용 내역을 업종별로 살펴본 결과, 마트·식료품이 28.8%(574억원)로 가장 많았고, 대중음식점이 23.3%(465억원)로 뒤를 이었다. 울산시민이 긴급재난지원금의 절반 가량을 식자재 구입과 외식에 사용한 셈이다. 다음으로 병원·약국 10.9%(217억원), 주유 6.0%(121억원), 편의점 4.0%(79억원) 순으로 나타났다.
가맹점 규모별로는 신용·체크카드로 사용된 긴급재난지원금 1996억원 중 약 63%인 1247억원이 영세한 중소신용카드가맹점에서 사용됐다. 이 중 연매출 3억원 이하인 영세가맹점에 530억원, 연매출 30억원 이하인 중소가맹점에는 717억원이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긴급재난지원금이 울산을 포함한 부울경 지역의 소상공인, 전통시장 매출 회복에 효과가 있었던 것으로 파악됐다. 중기부에서 매주 발표하는 소상공인 매출액 조사 결과에 따르면 부울경지역은 긴급재난지원금 지원 이후 일시적인 매출 회복세를 보였다.
다만, 서 의원은 정부 긴급재난지원금이 소진되면서 울산지역 소상공인 매출 감소폭이 다시 커진 상황을 지적하며, 후속 대책 마련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서 의원은 “‘반짝 효과’로 울산의 지역 상권이 잠시 활기를 찾은 듯 하였으나, 재난지원금의 빠른 소진과 코로나 재확산에 따라 소비 심리가 다시금 위축되고 있는 상황”이라며 “코로나 방역활동, 소상공인의 경영정상화를 위한 지원 등 울산의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추가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이형중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