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철호 울산시장-울산국회의원협의회, 정기국회 대비 23일 간담회
21대국회 개원후 첫 만남
반구대암각화 보존대책 등
지역현안 해법 머리 맞대
내년 국비확보 방안도 논의
2020-07-20 김두수 기자
이날 정책·국비간담회는 21대 국회 개원 후 처음으로 오는 9월1일부터 100일간 회기로 열리는 첫 정기국회에 대비, 울산권 맑은물과 맞물려 있는 국보 285호 반구대 암각화 보존책을 비롯해 내년 국비확보 대책 등 초당적 사전 정지작업의 일환이다.
시와 협의회에 따르면 이날 정책·국비간담회에는 암각화 보존책과 관련된 통합물관리 사업에 대해 시와 지역의원들의 의견을 교환하는 한편 정부 유관부처와 문화재청 등이 제시한 안을 놓고 시와 정치권이 조율할 예정이다.
통합물관리 사업은 이미 총리실과 국토부, 환경부 등 정부 유관부처 차원에서 경북 청도 운문댐 물줄기를 울산으로 연결하는 안과 울산 사연댐 수문설치안 등 로드맵이 구체적 단계에 이른 시점으로 정부와 시의 사전조율 결과가 주목된다.
청도 운문댐 물줄기를 울산으로 연결하는 안의 경우 대구와 구미시의 사전허락이 최대 관건이다. 사연댐의 수문설치를 위한 수위조절안에 대해선 시와 여야 정치권이 팽팽하게 엇갈린 시각을 유지해 왔다.
이에따라 이날 정책간담회에서 송철호 시장이 정부가 마련안 ‘초안’(해법)을 토대로 지역 여야 의원들에게 어떤 방식으로 어필할지가 초미의 관심사다.
미래통합당의 한 관계자는 “울산권 맑은물 공급과 맞물려 있는 암각화 보존해법은 운문댐 물줄기를 울산으로 연결하는 방안이 가장 좋은 해법”이라면서 “하지만 대구시와 구미시 등 타 지자체의 의견조율이 우선이기 때문에 난이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안다”고 기류를 전했다.
울산시와 정부 유관부처는 암각화 보존해법의 일환으로 우선 유네스코 등재를 목표로 설정하는 동시에 통합물관리 사업의 연장선에서 사연댐 수문설치방안으로 가닥을 잡고, 단계적으로 돌파구를 마련한다는 방침을 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시는 이밖에 이날 간담회에서 2030 세계 최고수준 수소도시육성과 부유식 해상풍력사업 등에 대해서도 지역의원들에게 협조를 요청할 예정이다. 시는 또한 국비확보와 관련해선 수소전기차 안전인증센서 구축사업비 270억원을 비롯해 3D프린팅 융합기술센터 450억원, 선박구조단일시스템 실증센터 구축비 220억원 확보에도 만전을 기하기로 했다. 김두수기자 dusoo@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