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언양읍성 재정비, 복원 보다 보존 중심으로
2020-08-19 정명숙 기자
관건은 문화재청의 정비 방향과 예산 지원이다. 언양읍성은 사적 153호로 지정돼 있다. 문화재청이 정비계획을 세우고 국비를 지원해야 정비든 복원이든 가능해진다. 이날 보고회에는 문화재위원들이 다수 참석했다. 울주군이 정비계획을 정리해 문화재청에 제출하면 문화재청이 심의를 거쳐 정비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언양읍성은 역사유적으로서 희소성을 갖고 있다. 해미읍성, 낙안읍성 등 사적으로 지정된 읍성이 더러 있지만 언양읍성처럼 평지에 장방형으로 조성된 읍성은 보기드물다. 구조적인 특이성이 있음에도 사적 지정 이후 제대로 복원사업을 진행한 적이 없다. 오히려 지난 1996년 10개년 계획으로 복원사업을 진행하다가 성곽을 엉터리로 복원하는 바람에 유적의 가치를 훼손하고는 4년만인 1999년 중단하고 말았다. 그 후로 2012년 또다시 종합정비계획을 세워 복원 사업을 시작했으나 사실상 지난 8년동안 찔끔예산으로 지지부진했다.
당시 계획상으로는 총 사업비가 1652억원이었으나 지난해와 올해 겨우 약 250억원이 투입된 것을 비롯해 총 300억원만 집행된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문화재청이 복원계획만 수립했을 뿐 그 후 사실상 손을 뗀 것이나 다름없었던 것이다. 근래 들어 문화재청의 기조가 복원 보다는 원형 보존으로 방향을 바꾸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울주군이 언양읍성 정비에 적극 나선 것은 잘 한 일이다. 서부권 중심인 언양이 울산의 부도심으로 급성장하고 있는데 도심 한가운데 자리한 언양읍성이 나대지로 남아 도시이미지를 크게 훼손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섣부른 복원은 절대 안된다. 복원 보다 보존이라는 문화재청의 정책 방향은 바람직하다. 역사성을 전혀 엿볼 수 없는 깔끔하게 정비된 문화유적은 관광자원이 되기도 어렵다. 세밀한 발굴조사를 통해 남아있는 유구를 있는 그대로 보여주는 등으로 유적공원을 조성해 지역주민들에게 되돌려주어 도시의 품격을 높이는 것이 어쭙잖은 관광자원화 보다 낫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