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울산 확진자 급증, ‘전시(戰時) 태세’로 방역강화해야
2020-08-30 이재명 기자
29~30일 이틀간 울산에서는 무려 8명의 확진자가 발생했다. 이들의 감염 경로는 서울 광화문집회부터 경기도 안산 소재의 화장품 생산공장, 목욕탕, 병원 등 매우 다양하다. 연일 신규 확진자가 알려지면서 30일 울산시 홈페이지는 상세 정보를 궁금해하는 접속자의 폭주로 한때 접속이 지연되는 일이 벌어지기도 했다.
가장 큰 문제는 확진자들이 다중이용시설을 자주 이용하고 있고, 그 중 적지 않은 수가 깜깜이 환자라는 것이다. 85번의 경우 울산 82번 확진자와 23일 울산시 중구의 한 목욕탕에서 접촉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 목욕탕에서 82번 확진자와 접촉한 사람은 110여명으로 추정되고 있다. 그 외 장소에서 82번 확진자와 접촉한 사람은 157명에 이른다. 88번은 22일 북구 소재 장례식장에 다녀왔고, 24~29일 남구 소재 의원과 약국을 하루 한차례씩 방문한 것으로 조사됐다. 89번은 개인택시 운전기사로 26일 오전 6시부터 오후 9시까지 택시를 운행했다. 27일에는 스텐트 시술을 받기 위해 울산병원에 입원했고, 28일 시술 후 발열 등의 증상으로 30일 확진 판정을 받았다. 89번과 병원 내에서 접촉한 사람만 150여명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이 중 의료진은 60여명이다.
방대본에 따르면 수도권을 중심으로 이번 유행 확산세가 본격화 한 8월 중순 이후(8월16~29일) 집계된 ‘감염 재생산지수’(전파력) 평균치는 1.5다. 재생산지수가 1.5라는 것은 환자 1명이 주변의 1.5명을 감염시킨다는 뜻이다. 이 숫자가 1 미만이면 방역 효과로 신규 확진자가 줄어들지만, 1 이상이면 방역에 구멍이 뚫린 상태여서 환자는 더 늘어나게 된다.
울산의 확진자들은 대부분 목욕탕, 골프장, 당구장, 장례식장 등 다중이용시설을 통해 감염됐다. 지금까지 하루만에 이렇게 많은 지역감염자가 나온 적은 없었다. 울산시 방역당국과 시민들은 점점 확산하고 있는 코로나19에 전시(戰時) 태세로 임해야 한다. 그리고 거리두기를 최후의 마지노선이라고 생각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