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아시아 첫 ‘다보스포럼 제조혁신 허브도시’ 됐다
UNIST에서 출범 포럼 개최
4차 산업혁명 기술발전 대응
中企 제조방식 전환 지원 등
‘스마트 산업도시’ 속도 기대
울산이 아시아 최초로 세계경제포럼(이하 다보스포럼)의 제조혁신 허브 도시로 등재됐다. 4차 산업혁명 기술 발전에 대응해 중소·중견기업의 제조 방식을 신속하게 전환할 수 있어, 스마트 산업도시 변신으로의 가속화가 기대된다.
울산시는 7일 UNIST 산학융합캠퍼스에서 UNIST, 다보스포럼과 함께 ‘울산 다보스포럼 제조혁신 허브도시 출범 포럼’을 개최했다. 온라인으로 진행된 이날 포럼에는 조원경 울산 경제부시장과 이용훈 UNIST 총장, 프란시스코 베티 다보스포럼 제조혁신위원장 등이 참석했다.
다보스포럼은 범세계적 경제 문제에 대해 논의하는 국제 민간기구로, 제조혁신 허브는 다보스포럼의 핵심 프로젝트 중 하나다. 미국 미시건과 뉴잉글랜드, 스페인 바스크 지역, 덴마크 코펜하겐, 이탈리아 롬바르디, 터키 이스탄불, 호주 퀸즈랜드, 브라질 상파울루 등 7개국 8개 지역이 제조혁신 허브에 등재돼 있다. 울산은 아시아 최초, 세계 9번째로 등재됐다.
제조혁신 허브는 4차 산업혁명의 혁신적 기술 발전에 대응해 중소·중견소기업이 신속하게 제조 방식을 전환하도록 지원하는 지역 단위 글로벌 네트워크다. 선정된 지역(도시)은 지역 내 기업들과 연구기관, 지자체 관계자들이 함께 참여해 제조혁신의 과제를 발굴하고 추진한다.
국내 제조 산업의 중심지인 울산은 이번 등재로 전통 산업도시를 디지털 산업도시로 전환해 나가는 과정을 공유하고 글로벌 제조혁신 도시들의 기술과 경험을 선제적으로 도입하게 됐다. 이를 통해 자동차, 조선, 석유화학 등 기존 주력산업의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하고 재도약의 발판을 마련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날 포럼에서는 프란시스코 베티 위원장과 김동섭 UNIST 정보바이오융합대학장이 제조혁신 허브 시사점과 울산 제조혁신 발전 방향에 대해 각각 기조연설했다. 또 신상범 한국조선해양 상무가 한국조선해양 제조혁신 사례, 최규남 한국몰드 대표가 자동차부품 사출성형 품질혁신 사례 등 스마트 제조혁신 사례에 대해 발표했다.
이어 울산형 스마트 산업도시 미래와 그 과정에서 제조혁신 허브 역할에 대한 패널 토의가 열렸다.
조원경 경제부시장은 “울산시는 글로벌 네트워크에 한국판 뉴딜의 근간인 디지털과 그린의 색채를 입혀 시민의 생활공간과 산업공간을 스마트하게 혁신하고 모범사례를 공유하겠다”며 “스마트하게(스마트 뉴딜), 인간의 편의를 생각하고(휴먼 뉴딜), 환경을 생각하며(그린뉴딜), 현재의 위기를 극복하는 스마트한 울산이 되겠다”고 밝혔다. 이춘봉기자 bong@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