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문예회관 신임관장, 보은인사 안된다”
‘개방형직위제’ 공모 진행중
시립예술단 노조 성명 발표
“특정인사 하마평 무성 우려
조직쇄신 이어갈 전문가를”
현재 신청자만 12명 달해
추가 신청땐 역대최다 전망
울산시는 시 산하 사업소인 울산문화예술회관의 신임관장 선임을 위해 개방형직위제 공모를 진행하고 있다. 개방형직위제는 조직내부 기존의 공무원을 관장으로 파견하는 것이 아니라, 현직 공무원은 물론 외부 전문가에게도 ‘관장’직 도전의 기회를 주는 것이다. 공모는 현재 오는 11일 면접전형을 앞둔 상황이다.
이런 가운데 울산문예회관 내 상주하는 울산시립예술단 노조가 공정하고 투명한 공모절차를 촉구하는 성명을 발표했다. 이달 말 공모 결과에 따라 2차 단체행동까지 예고하고 있어 울산시의 대응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민주노총 공공운수사회서비스노조 울산시립예술단지부(지부장 박원우·시립무용단 수석)는 8일 울산문예회관 대공연장 앞 계단광장에서 ‘신임관장 공모에 대한 노조입장’ 제하의 성명을 발표했다. 울산시립예술단 노조에는 총 195명의 예술단원(지휘자·부지휘자 제외) 중 150명이 조합원으로 가입해 있다.
노조는 “울산문예회관장은 예술경영과 정책에 대한 전문성이 확보되어야하고 공공예술복지에 대한 의지가 선행돼야하는 자리”라면서 “(우리는)특정인사의 하마평이 지역여론에 언급되는 상황을 주목하고 있다. 개방형공모제가 위인설관(爲人設官), 퇴임공무원을 위한 보은성 인사로 악용되어서는 안된다”고 주장했다.
성명발표의 발단은 최근 지역 문예계에 떠돌았던, 후임 관장에 대한 하마평에서 비롯됐다.
하마평의 주요 내용은 최장 5년 임기를 보장받는 현 금동엽 관장이 이번달 말 2년 단임으로 임기가 만료되면, 그 후임으로 지난해 시 과장급으로 퇴임한 심모씨가 1순위 물망에 오른다는 것이다. 이에 일각에서는 이번 개방형직위제 공모의 최종 당선자가 이미 내정돼 있다며 확대해석까지 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 장모, 정모씨 등 시 국장급 퇴임 공무원들도 본인 의지와는 상관없이 하마평에 올랐다. 퇴임 공무원인 이들의 공통점은 유독 임기 후반기에 문화예술행정에 깊이 관여했던 공무원들이다.
노조는 “임기만료를 앞둔 현 금동엽 관장의 입장을 대변하기 위한 것은 절대 아니”라며 선을 그었다. 다만 “단순 하마평이 현실화 되는 것에 대한 우려가 내부적으로 팽배하다. 이번 공모가 취지에 맞게 진행되는지, 그 과정이 공정한지, 다수가 직시하고 있음을 알리고자 한다”고 덧붙였다.
이와함께 울산시립예술단의 조직쇄신 작업이 금동엽 관장의 임기만료로 흐지부지 된 데 따른 이유도 성명 발표에 한몫 거든 것으로 알려졌다.
1990년에 창단한 울산시립예술단은 창단 30년 째 기존의 조직구조를 유지하고 있다. 예술단장은 시장이, 부단장은 시 문체국장이 맡고있는 타 광역시급 공립예술단과 달리 울산시립은 행정부시장이 단장을, 울산문예회관장이 부단장을 맡고있다. 상대적으로 예산확보가 어렵고 그로인해 예술단 사업확장을 더디게하는 요인으로 인식돼 왔다. 또 각 예술단(교향악단·합창단·무용단)과 사무국(국장·단무장)의 원만치못한 관계의 해결책으로 각 단별 독립된 단무장 시스템을 운영하자는 논의도 더이상 진전없이 멈추게 됐다.
박원우 지부장은 “울산문예회관 관장은 시대표 복합문화시설 운영과 시립예술단 내부의 복잡한 구도에 정통해야 한다. 무엇보다 예술경영에 대한 마인드도 남달라야 한다. 기관의 특성을 제대로 이해하고 책임있게 개혁을 실현할 수 있는 전문가를 선임해 주기를 바란다”고 촉구했다.
한편 울산시의 이번 울산문예회관장 개방형직위 공모에는 지금까지 12명이 신청했다. 실제로 울산시 퇴임 공무원과 지역 문예계 인사가 포함됐으며 서울, 경기, 광주 등 타 지역 전문가도 참여했다. 지원서 접수마감은 지난 4일이었지만, 4일자 우편소인 신청서(8~9일 배달예정)까지 모두 마감될 경우 신청자 수는 18~20명 선까지 역대 최다 신청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홍영진기자 thinpizza@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