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남구청장 4·7 재선거 초반 관전포인트]시민 참여 확대…중앙당서 일괄 심사 가닥
(중)국민의힘 개혁공천·미스(터)트롯방식 도입하나
2020-09-09 김두수 기자
공천개혁 로드맵 착수
물밑 작업 가능성 높아
공천 후유증 가중될지도
내년 4·7 울산 남구청장 재선거와 관련, 여여 정치권 가운데 야당인 국민의힘 공천 로드맵이 벌써부터 관심이 쏠리고 있다.
특히 지난 2018년 6월 4개 동시지방선거(시장·기초단체장·시의원·구군의원)에서 20년만에 시장까지 진보정치권에 빼앗긴 국민의힘은 관내 5개 구군 단체장 가운데 2년여만에 선거법위반으로 ‘중도낙마’한 남구청장은 반드시 탈환하겠다고 벼르고 있어서다.
4·15총선 참패직후 김종인 비상대책위 체제 출범후 첫 서울·부산시장, 울산 남구청장 재보궐선거까지 확대, ‘미니대선급’ 재보선이라는 점에서 새로운 공천시스템이 핵심 과제로 부상하고 있다.
하지만 울산시당 안팎에선 벌써부터 지난 4·15총선에서 당선된 2명의 남구지역구 의원(김기현·이채익)과의 정치적 ‘품앗이’ 공천으로 전락할 가능성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김종인 체제 과감한 공천개혁 성공할까
김종인 비대위는 최근 서울·부산시장을 비롯해 울산 남구청장 재보궐 선거를 위한 선거기획단을 9월중 출범시키기로 한데 이어 공천개혁 로드맵 작업에 착수했다.
당 지도부는 재보궐 선거의 경우 중앙당 공천관리위에서 심사를 하는 당헌·당규와 전례를 들어 서울·부산시장은 물론 울산 남구청장 후보공천까지 중앙당에서 일괄 심사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았다.
당 핵심관계자는 9일 “내년 서울·부산시장은 물론 울산남구청장 재선거는 당으로선 사활을 걸고 필승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면서 “특히 여당소속 두 전직 단체장(서울·부산)의 성추문의혹으로 보선이 치러지는 데다, 울산남구청장 재선거 역시 민주당 소속 단체장의 불법 선거법위반에 따른 재선거이기 때문에 패배하면 당의 간판을 내려야 할 만큼 중대선거”라고 규정했다.
이러한 개혁 공천방안은 앞서 주호영 원내대표가 밝힌 미스(터)트롯방식의 경선과도 직접 관련 있다.
미스(터)트롯방식의 공천로드맵은 모 방송에서 트롯가수 선발 방식과 직간법 관련 된 것으로 전통적인 방식(1차 후모공모를 거친 뒤 2차 면접심사와 여론조사)을 완전 탈피, 당원들의 참여 비율을 줄이는 대신 시민들의 참여를 확대하는 방식이다.
◇정치권 힘겨루기·나눠먹기 남구청장 후보 공천
김종인 비대위체제의 개력공천·미스트롯 경선도입 추진에도 불구, 울산지역 정치권의 현실에선 지역구 국회의원간, 또는 출전을 준비하는 일부 예비주자간 물밑 힘겨루기가 펼쳐질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게 문제점이다.
더구나 국회의원 2개 복합선거구에다 전현직 시의원과 구의원 역시 갑을로 나뉘어진 현실에서 초반부터 세불리기를 통한 힘겨루기쪽으로 급류를 탈 것이라는 관측이다. 반대로 정치적 가변성에 따라 1년임기의 재선거 현실에서 차기 지방선거(2022년)와 맞물려 ‘나뉘어 먹기식’의 구태로 전락 가능성도 완전 배제할 수 없다.
때문에 상황에 따라선 김종인 지도부가 마련하는 ‘이상적 공천 로드맵’과 울산의 ‘전통적 공천방식’이 오버랩되면서 공천후유증만 가중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김종인 비대위원장이 서울·부산시장 후보 공천 관련 외부인물 수혈을 통한 과감한 인적 개혁의 연장선에서 울산남구청장 후보 역시 폭넓게 경제계 또는 전문가군의 외부인재영입을 추진, ‘순수당원’과 시민들이 공감하는 개혁공천이 이뤄지게 될지 주목된다.
김두수기자 dusoo@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