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재단 소유 건설사(부산지역 업체) 울산에 대학설립 추진

땅값 비싸 부지확보 관건..

2019-10-24     최창환

땅값 비싸 부지확보 관건
市, 도시개발사업 추진해
그린벨트 해제방법 모색
열악한 교육여건 개선 위해
市, 다양한 대학유치안 구상


교육재단을 소유한 부산권 유력 건설업체가 울산시와 울산에 대학설립을 협의중인 것으로 확인돼, 성사 여부에 지역사회와 교육계의 이목이 주목된다. 최대 과제는 대학건립의 경제성을 좌우하는 부지확보로, 울산시는 도시개발사업 방식을 도입해 그린벨트에 저렴한 가격으로 대학교를 짓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24일 울산시에 따르면 부산지역 건설업체 소유의 A교육재단이 울산시와 울산에 대학을 유치하는 방안을 협의하고 있다. 이 교육재단은 경남지역에 대학과 고등학교를 소유하고 있고, 최근 울산으로 교육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통상 대학건립에는 최소 수백억원에서 많게는 수천억원의 자금이 소요된다. 건축비와 함께 가장 중요한 관건이 부지매입인데, 현재 울산은 도심뿐만 아니라 외곽지역까지 땅값이 높게 형성돼 있어, 대학 설립이 사실상 불가능하다. 유일하게 가능한 부지는 땅값이 상대적으로 저렴한 그린벨트가 꼽힌다.

문제는 ‘개발제한구역의 지정 및 관리에 관한 특별조치법’(그린벨트법)에 따라 대학설립 단일 사업으로는 그린벨트를 풀 수 없다는 점이다. 돌파구로 울산시가 모색중인 방안이 도시개발사업이다. 공공개발성격의 도시개발사업으로 추진하면, 시장의 권한으로 30만㎡ 이하의 그린벨트는 해제할 수 있다. 도시개발사업으로 그린벨트를 해제하고, 개발사업 부지 일부 구역을 대학부지(교육) 용도로 지정하면 가능하다는 것이 시의 판단이다. 울산시가 도시개발사업을 할 수 있는 건설회사 소유의 A교육재단과 협의하는 이유도 이 점을 감안한 것으로 분석됐다.

울산시는 A교육재단과의 협의 이외에도 대학설립을 위한 다양한 전략을 세우고 있다. 적당한 그린벨트 부지를 물색해 공영개발로 도시개발사업을 추진하는 방안도 검토중인데 이는 울산시가 도시개발 내 부지에 대학 건축물을 직접 짓는게 요지다. 대학 건물을 지어, 타지역 대학의 이전이나 분교 유치 등 다수의 대학이 들어올 수 있는 공동캠퍼스 구상이다.

일각에서는 교육부의 부실대학으로 선정돼 퇴출 위기에 놓인 대학을 울산으로 유치하기 위한 방안도 강구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민간개발시 특혜 시비, 공영개발의 경우 재원 확보가 해결해야할 난관으로 전망된다.

울산시는 지난 23일 행정부시장 주재로 대학유치 태스크포스(TF) 회의를 개최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A교육재단과의 협의 내용을 비롯해 울산시의 인력수요에 부합하는 학과 중심의 일부 이전을 통한 다수대학 공동캠퍼스 모델 검토, 유치대상 대학의 선정기준 등에 대해 논의했다.

민선 7기 울산시가 공약으로 내세우며 이처럼 대학유치에 적극 나서는 이유는 열악한 교육여건이 인구감소의 주요원인 중 하나로 꼽히기 때문이다. 2016년 기준 울산지역 내 대학에 진학한 학생은 1만2740명으로 나타난 반면 같은 기간 울산지역 대학의 정원은 5585명으로 7715명이나 공급이 부족했다. 연평균 졸업생의 80%정도가 대학입학을 위해 타지역으로 떠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특히 울산은 인구당 대학생수도 전국 최하위 수준이다. 울산은 인구 72명당 대학생수가 1명으로 전국 평균인 33명당 1명보다 월등히 높다. 서울이 26.9명, 부산이 23.4명, 광주 23.1명, 세종 15.5명, 대전 17.7명이다. 2019년만 따져봐도 대학진학 예정 학생은 1만1000명인데 지역내 입학정원은 4000명에 불과하다.

시 관계자는 “정부가 현재 49만명인 대입정원을 2023년까지 40만명으로 축소하는 등 대학구조조정 여건 속에서, 대학 신설이나 정원 증원은 현실적으로 어려운 상황”이라며 “그러나 교육여건 개선이 울산의 정주여건 확대로 이어지는 만큼 대학유치에 모든 역량을 모으겠다”고 말했다. 최창환기자 cchoi@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