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재·보선 준비 집중…12월 예비후보 등록

민주당 후보공천 공론화 시기놓고 고심 깊어
‘원인 제공 땐 무공천’ 당규 개정엔 의견 분분
국민의힘 ‘시민참여형 경선’으로 가닥잡고
재·보선 후보 경선준비위원회 본격 가동

2020-10-27     김두수 기자
21대 국회 첫 국정감사가 종료된 27일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 등 여야는 4·7 울산남구청장 재선거와 서울·부산시장 보궐선거준비에 박차를 가하고 나섰다. 서울·부산시장 보선 예비후보등록은 오는 12월8일, 울산 남구청장 재선거 예비후보등록은 12월25일이다. 때문에 여야 지도부가 후보 공모와 공천심사 등 스케줄을 감안할때 더 이상 머뭇거릴 시간적 여유가 없는 상황이다.

민주당은 울산남구청장과 서울·부산시장 보궐선거 공천 공론화 시기를 놓고 고심이 깊어지고 있다.

당의 한 고위 관계자는 이날 “후보를 내는 쪽으로 가지 않을까 싶다. 그런데 원칙과 명분 있게 가야 하므로 적어도 당원들의 뜻을 묻는 절차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재보선 원인을 제공한 선거에는 후보를 내지 않도록 한 현행 당헌·당규의 개정 여부에 대해선 당내 이견이 있다. 후보를 내려면 당헌·당규 개정이 선행돼야 한다는 의견과 정치적 결단으로 해결할 문제라는 의견이 엇갈린다. 당헌·당규 개정을 주장하는 쪽은 현행 규정에 ‘다만 최고위 의결이 있을 경우에는 달리한다’는 문구를 추가하는 방안을 거론한다.

반대파는 향후 어떤 상황이 발생할지 모르는데 당헌·당규에 섣불리 손을 대는 것은 문제의 소지가 있다며, 어차피 결단의 문제라는 입장이다. 다만 어떤 절차를 거치더라동 후보를 내는 것 자체가 기존 당헌·당규에 반하는 결정으로 해석돼 적지 않은 반발이 예상된다. 당에선 최대한 논란을 줄이기 위해 공론화와 동시에 공천 여부를 속전속결로 결정할 것이란 관측도 있다.

공론화를 시작하는 순간 이낙연 대표의 대국민 메시지와 전당원 투표, 최고위 의결 등의 절차를 속도감 있게 진행할 가능성이 있다. 이 대표는 재보선 공천 여부에 대해 “늦기 전에 책임 있게 하겠다”는 기존 입장을 재차 밝혔다.

야당인 국민의힘은 서울·부산시장 보궐선거 경선준비위원회를 본격적으로 가동, 키워드는 시민참여형 경선으로 가닥을 잡았다.

정양석 사무총장은 “시민과 호흡할 수 있는 후보를 내고, 일반 시민의 참여를 폭넓게 보장하는 경선을 준비할 것”이라고 했다.

경선준비위는 최근 김종인 비상대책위원장과 경선룰 토론을 겸한 오찬을 하고 활동 계획을 가다듬었다.

김 위원장은 이 자리에서 “서울·부산 시민들의 의사가 많이 반영될 수 있는 쪽으로 룰 세팅을 고려해달라. 국민이 납득할 만한 합리적 대안을 기대한다”고 거듭 당부했다.

당 경선준비위는 보선 후보들이 권역별로 토론회 또는 토크쇼를 열고, 다양한 직군의 시민으로 ‘국민평가단’(가칭)을 구성하는 방안 등이 논의된 것으로 알려졌다. 당 싱크탱크인 여의도연구원은 시민들의 관심 키워드를 빅데이터 분석해 이상적인 가상모델, 즉 ‘프로토타입’(prototype)을 다음 달께 공개할 예정이다. 김두수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