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IL, 울산신항에 제2 원유하역시설 가동
해저·육상에 6.7㎞ 송유관 설치
안정적 원유 공급 인프라 구축
공장운영 효율성·경쟁력 강화
환경문제 발생 가능성도 낮춰
S-OIL이 울산신항 전면해상에 두번째 원유하역시설(#2 SPM)을 완공하고 가동을 개시했다.
이로써 안정적 원유공급 구축으로, 공장운영 효율성이 극대화되어 경쟁력이 한층 업그레이드될 전망이다.
3일 S-OIL에 따르면 이 시설에는 2년7개월간 총 1720억원이 투자돼 원유선 계류 설비와 44인치 직경 해저 3.7㎞ 및 육상 3㎞ 송유관이 설치됐다.
이날 첫 가동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한 원유하역시설인 SPM(Single Point Mooring)은 유조선에 선적된 원유를 바다에 띄워진 부이(buoy)를 이용해 해저배관을 통해 육상으로 공급하는 해상 원유하역시설이다. 흔히 ‘정유공장의 젖줄’이라고 불리는 핵심 시설이다.
S-OIL은 기존 원유부이(#1 SPM)를 이용해 도입된 원유를 정제해 석유제품을 생산해 왔으나, 공장 증설에 따른 원유 처리량이 점진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추가 부이 건설의 필요성이 대두되어 왔다.
이에 S-OIL은 공장 운영 안정성을 높이고자 두번째 원유하역시설 건설을 추진했고, 지난 2일 S-OIL의 3096번째 입항 원유선인 ‘FPMC-C-NOBLE’호를 이용해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수입한 원유의 하역 작업을 성공적으로 마쳤다.
S-OIL은 “두번째 원유부이의 가동으로 복수의 원유 하역시설을 구축함으로 기상상황에 더욱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고, 긴급 상황이 발생했을 때도 안정적인 원유 공급이 가능하게 되어 후속 공정의 정상적인 운전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해상일기에 따른 원유선의 체선료 및 원유 긴급 임차비용 감축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한다”며 “보다 안전하고 안정적인 부이 운영을 통해 해양 시설로 인한 환경문제 발생 가능성을 현저히 낮출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형중기자 leehj@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