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은인사 등 울산시 조직 운영문제 또 지적
그린벨트 풀어 산단 확장 필요
대운산에 산단 허가 사유 따져
2020-11-10 이왕수 기자
◇행정자치위원회
백운찬 의원은 행정지원국 행감에서 “울산시 공무원 정원이 3238명이지만 현원은 153명 부족한 3085명인데 반해 기간제 근로자는 전년 대비 2배 늘어났다”며 “기간제를 남발할 경우 안정적이지 못한 일자리에 대한 시민들의 실망감과 우려가 커진다”고 지적했다.
고호근 의원은 “송철호 시장이 전반기에 이어 후반기에도 인수위 부위원장 출신을 경제진흥원장으로 임명하는 등 보은인사가 이어지고 있다”며 “문화예술회관 관장의 경우 문화예술 분야 경험이 없지만 송 시장 집행부에서 행정지원국장을 역임하고 퇴직한 인물을 발탁됐다”고 질타했다.
황세영 의원은 “공무원 공로연수제가 퇴직 후 사회적응이라는 당초 취지와 다르게 공직자 내부의 인사적체 해소 수단으로 전락했다”며 “그동안 행정력, 예산낭비, 특혜 의혹이 있음에도 울산시가 제도 개선에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환경복지위원회
손종학 의원은 녹지정원국 행감에서 “울산시가 105억원의 예산을 들여 오는 2022년 완공을 목표로 태화강역 앞 울림광장 조성사업을 진행하고 있는데 향후 고속열차 개통, 도시철도(트램) 도입 등을 고려하면 예산이 중복 투자돼 낭비될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다.
장윤호 의원은 “산단 주변 완충녹지가 부족한 상황에서 개발제한구역 해제를 통해 산단을 확장할 필요가 있다”며 “도시계획위원회와 함께 고민해달라”고 당부했다.
◇산업건설위원회
윤정록 의원은 미래성장기반국 행감에서 “신한중공업의 공유수면 매립사업으로 인한 이득이 반환돼야 하지만 의도적으로 이익을 취한 것으로 사료된다”며 “향후 같은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철저한 업무추진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전영희 의원은 GW일반산업단지 조성과 관련해 대운산 청정지역에 허가한 사유와 공사에 따른 환경오염 문제 등을 질의한 뒤 “사업 준공 전 폐기물 유치 신청에 대한 주민들의 행정 불신이 높은 상황에서 주민의견을 적극적으로 반영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왕수기자 wslee@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