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해신공항 백지화’ 울산 뒷짐만
부산·경남 환영입장 속
정치적 이해관계 감안
“시민 이익에 부합되길”
市, 원론적 입장문 발표
밀양신공항 공론화 등
적극적인 목소리 내야
2020-11-17 최창환
국무총리실 김해신공항 검증위원회는 17일 김해신공항안이 동남권 관문 공항으로 사실상 부적합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부산시와 경남도는 환영의 목소리를 내며 정부의 가덕신공항 추진을 확정하는 분위기를 조성하고 있다. 그러나 엄밀하게 말하면 총리실 검증 결과 발표는 김해신공항이 동남권 관문 공항으로 부적절하다는 결론을 낸 것일 뿐, 가덕신공항 추진을 발표한 게 아니다. 총리실이 전체 여론을 살펴보겠다는 것으로 풀이된다.
가덕신공항은 인근 광역지자체의 여론이 최대 변수다. 벌써부터 대구·경북지역의 김해신공항 백지화 반대가 거세다. 군위와 의성에 통합 신공항을 건설하는 대구·경북의 반대 여론은 그동안의 강도에 비해 다소 누그러진 측면이 있지만 ‘김해신공항안 사실상 폐기’와 관련 과거 5개 시도간 합의의 틀이 깨졌다며 반발하고 있다.
김경수 경남도지사를 필두로 경남도 행정은 찬성하지만, 지리산권과 남부 해안권, 중부권과 동부권 등 지역에 따라 이해관계가 첨예하게 갈린다.
이에 따라 울산시가 캐스팅보트가 될 가능성이 높다. 민선 7기 울산시는 그동안 “김해공항 확장을 지지하지만, 신공항 검증에는 동참하겠다”는 기조를 보였다. 송철호 시장도 “울산시민은 김해가 접근성에서 유리하기 때문에 김해공항 확장안을 선호한다”고 명확히 밝히기도 했다. 김해신공항 기본계획 등에 나타난 오류를 바로잡아 편의성과 안전성을 갖춘 공항 건설을 유도하겠다는 것이었다.
그러나 부산과 경남은 울산을 ‘부울경은 하나’라는 프레임에 집어넣고 마치 울산시가 김해신공항 폐지를 찬성하는 것처럼 여론전을 펼치면서 혼란을 주기도 했다. 정치적 이해관계와 낙동강통합물관리 문제가 얽혀있다 보니, 울산시는 제대로된 목소리 한 번 내지 못했다.
결론적으로 김해신공항이 백지화되면서 울산시의 입장 변화도 불가피하다. 일각에서는 밀양신공항을 수면 위로 올려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과거 정부가 검토한 신공항 설치 방안은 김해신공항, 밀양신공항, 가덕신공항 등 3개였다. 당시 울산시는 접근성이 좋은 밀양신공항을 밀었다. 정부가 객관성을 담보하기 위해 프랑스 파리공항공단엔지니어링(ADPi)에 맡긴 경제성 연구용역 결과에서 김해신공항 1위, 밀양신공항이 2위를 기록했다. 가덕신공항는 3위로 최하위를 차지했다.
울산시의 입장문을 보면, 가덕신공항을 지지한다는 내용은 없다. 모호한 표현만 썼다. 전략적 판단일 수도 있지만, 지역의 운명이 걸린 사안에 광역단체인 울산시가 나약함 모습을 보였다는 평가도 있다. 울산시 관계자는 “신공항이 어디로 가는 지 정부가 발표하지 않았다”며 “시의 입장은 울산 시민이 신공항 이용에 불편함이 없도록 광역급행철도(GTX), 동해남부선을 활용한 새로운 교통수단, 도심공항터미널 등 교통 대책이 최우선”이라고 강조했다. 최창환기자 cchoi@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