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다시 ‘탄핵의 강’ 대치..둘로 쪼개져

물갈이 원외위원장들 반발..민경욱 “검사결과 부정선거 수법 공부한듯”

2020-12-09     이왕수 기자

김종인 국민의힘 비대위원장이 이명박·박근혜 전 대통령의 과오에 대한 공식 사과를 강행하겠다고 밝힘에 따라 당내 찬반 논란이 더욱 격화하고 있다.

김 위원장은 8일 의원총회에서 의원들에게 “여러분이 다소 불편한 점이 있어도 당이 국민의 마음을 다시 얻을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그는 이미 대국민 사과문 초안까지 완성해둔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잇단 선거 참패 뒤 비대위 체제를 이어오면서 물밑에 가라앉은 듯했던 당내 갈등의 씨앗이 ‘과거사 청산’이라는 예민한 이슈를 만나 폭발하는 양상이다.

특히 당내 반대파들은 시기상 부적절하다는 점을 들고 있다. 선거를 앞두고 스스로 낙인찍을 필요가 있느냐는 논리를 펴지만, 부정적 기류가 뚜렷하다.

보수 등 과거 보수여당의 터줏대감 역할을 해온 인사들이 ‘김종인 흔들기’의 선봉에 섰다.

친이(친이명박)계 좌장 격인 이재오 상임고문은 자신의 유튜브 방송에서 “사과는 김종인이 해야 한다. 국민의힘 비대위원장 자리를 이용해 당을 민주당에 갖다 바치는 것”이라고 반발했다.

친박(친박근혜)계 김재원 전 의원은 이날 페이스북 글에서 “이제는 사과를 반드시 해야 한다. 하지만 사과를 해서 특별히 달라질 것이 없고 낙인찍기만 뒤집어쓸 것”이라고 비꼬았다.

야권의 유력 대선주자인 무소속 홍준표 의원은 “두 전직 대통령에 대한 사과는 굴종의 길이다. 문재인 정권 출범의 정당성을 인정하고, 지난 4년간의 폭정을 받아들이자는 굴종”이라고 비판했다.

홍 의원이 발탁한 배현진 의원은 문재인 정부를 ‘태어나지 말았어야 한다’는 뜻의 “귀태(鬼胎)”로 규정한뒤 “잘못된 역사를 연” 김 위원장 본인부터 사과하라고 이틀째 김 위원장을 저격했다.

쇄신을 통한 보수 재건을 주장해온 김 위원장은 직을 걸고 정면돌파를 불사하겠다는 뜻을 거듭 확인했다.

반면 김 위원장의 결단에 대한 당내 호응도 적지 않다.

계파에서 상대적으로 자유롭고, 김 위원장의 당 혁신을 응원해온 초선 의원들은 상당수가 “정권 교체를 위한 극약처방”, “환골탈태의 메시지”라며 사과 필요성에 공감하는 기류가 없지않다.

조수진 의원은 페이스북에서 폐족 선언 후 부활한 친노(친노무현)를 언급하며 “반대만 해선 영원한 폐족이 될 뿐”이라고 말했다. 

한편 당소속 원외 당무감사 결과 교체 대상으로 거론된 당협위원장들이 일제히 반발하고 나섰다. 

인천 연수을의 민경욱 전 의원은 이날 페이스북에서 김종인 비대위원장을 겨냥, “일곱 번 당적을 바꾼 사람, 문재인을 대통령으로 만든 사람”이라며 “이 자가 나를 자르겠다는 건가. 그 이유나 들어보자”라고 따졌다.

지난 추석 ‘달님 영창’ 현수막으로 논란을 빚은 김소연 대전 유성을 당협위원장은 페이스북 글에서 “당무감사 나온 당직자들조차 호감과 존경을 표하고 갔는데, 또 어떤 궁예가 나타나 중간기록을 관심법으로 정리했나”라고 적었다. 김두수기자 dusoo@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