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건설 강동 앞바다 해상풍력사업 재시동
주민반대·불확실성 등으로
사업철회 수순 전망됐지만
한국판 뉴딜 추진에 힘입어
사업 수정안 산업부에 제출
발전기 설치장소 변경 골자
2020-12-28 최창환
28일 울산시에 따르면 SK건설이 동남해안 해상풍력발전사업에 다시 적극 나서고 있다. 이 사업의 시작은 7년8개월 전이다. SK건설은 지난 2013년 4월 북구 강동 앞 1.2~3㎞ 해상에 3㎿ 발전기 33기를 설치해 약 10만 가구가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전력을 생산하는 256㎿급 발전단지를 추진, 그동안 변경과 재허가 등을 거쳤다. SK건설은 산업부와 협의해 사업을 대폭 축소, 17기(개당 8㎿급·총 136㎿) 규모로 2018년 9월20일 산업부 전기위원회를 통과하면서 발전사업 허가가 났다.
그러나 북구청과 주민들이 사업설명회를 열고 발전사업 허가에 대해 이의신청하면서 또다시 불투명해졌다.
SK건설도 더 이상 적극적인 모습을 보이지 않았다. 주민수용성이라는 난제도 있지만, 해상풍력의 수익성 악화, 정책의 불확실성 때문으로 분석됐다. 당시 SK 관계자는 본보와의 인터뷰에서 “주민수용성을 확보하지 못해 큰 어려움을 겪었고, 지금은 투자환경이 급속도로 나빠졌다”며 “전략적으로 동남해안 해상풍력사업에 적극 나설 필요성이 없다고 판단된다”고 밝혔다.
그러나 해상풍력사업이 정부의 한국판 뉴딜에 공식 채택되면서 SK건설은 태도는 급변했다. SK는 최근 사업 내용 수정안을 산업부에 제출했다. 발전사업 허가가 났지만, 시와 북구청, 주민들의 반대 의견으로는 사업 추진이 어렵다는 판단에서다.
수정안의 핵심은 발전기 설치 장소다. 당초 강동 앞바다 1.2~3㎞에서 최대 10㎞지점까지 후방으로 물리며, 발전기 밀집도를 대폭 낮춘다. 육지에서 관측시 발전기 17기가 횡렬로 보이게 설치한다. 해양경관 훼손이라는 민원을 고려해서다. 또 해당 해역에 부유식 해상풍력발전기 2기를 시범 운영한다. 울산시의 역점사업인 부유식 풍력 사업에 일조하는 모습을 보여 울산시의 입장을 긍정 방향으로 유도한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산업부는 수정안에 대한 의견조회를 이달 31일 진행한다. 산업부 전기위원회의 심의를 최종 통과하면 건설에 들어간다. 상업운전은 2022년 8월 예정이다.
울산시 관계자는 “그동안 울산 행정기관의 반대와 주민수용성 부족으로 SK건설이 사업을 포기한 것으로 알고 있었다”며 “SK건설의 수정안이 통과되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최창환기자 cchoi@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