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자들(금융자산 10억 이상 보유) “작년엔 주식 비중 확대…올해는 유지”
올해 체감경기 전망 ‘부정적’
부자 절반 “부동산 경기 악화
현재의 자산구성 유지하겠다”
부동산보다 금융자산에 집중
금융자산 10억원 이상을 보유한 부자들의 절반이상은 올해 실물경기와 부동산 경기 등 체감경기가 ‘안 좋아질 것’이라고 판단, ‘현재의 자산 구성을 유지하겠다’고 밝혀 자산 리밸런싱에 대해서는 관망하겠다는 태도가 우세했다. 부자들은 지난해 현금 및 예금 등 안전자산 비중과 함께 주식 비중 확대 등 금융자산 포트폴리오를 상당히 큰 폭으로 상향 조정했다.
하나은행 하나금융경영연구소는 8일 우리나라 부자(금융자산 10억원 이상 보유)와 대중부유층(금융자산 1억원 이상 10억원 미만 보유)을 대상으로 작년 12월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한 내용을 담은 ‘2021 Korean Wealth Report : 부자와 대중부유층의 자산관리 트렌트’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부자와 대중부유층은 금융자산 포트폴리오를 적극적으로 조정했다. 특히 주식 투자의 경우 부자의 53%, 대중부유층의 48%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이후 주식 비중을 늘렸다고 응답했다.
이같은 자산 리밸런싱으로 지난해 부자와 대중부유층은 당초 기대한 목표 수익률보다 양호한 투자수익률을 거뒀다. 10% 이상의 금융자산 수익률을 낸 부자와 대중부유층은 고수익의 원인을 ‘주식 직접투자(49%)’와 ‘주식형펀드(13%)’ 덕분이었다고 답했다.
올해 부자와 대중부유층이 체감하는 경기 전망은 대체로 부정적이었다. 실물 경기는 61%가, 부동산 경기는 52%가 더 안 좋아질 것이라고 답했다.
이런 경기 전망을 토대로 부자(51%)와 대중부유층(56%)의 절반 이상은 올해 ‘현재의 자산 구성을 유지하겠다’고 밝혔다. 자산구성을 변경할 계획인 경우 부동산보다는 금융자산 비중을 늘리겠다는 응답이 더 많았다. 특히 부동산 고액자산가(보유 부동산자산 50억원 이상)의 29%는 세금 부담 가중 등의 이유로 ‘부동산 비중을 줄이겠다’고 응답했다.
최근 5년간의 조사를 비교해보면 부자들의 경우 ‘현재 자산 구성을 유지하겠다’는 응답률이 올해(51%)가 가장 높았고, ‘부동산 비중을 확대할 계획’이라는 응답률은 올해(8%)가 가장 낮았다.
올해 부자와 대중부유층의 투자 계획인 금융상품은 단기금융상품, 지수연계상품, 정기예금, 주식 직접투자, 외화자산 등으로 꼽았다.
부자들의 경우 주식 직접 투자와 주식형 펀드 모두 작년 대비 선호도가 급격히 상승(주식 12%→36%, 주식형펀드 14%→21%, 1·2·3순위 응답 통합)했다.
부자들이 보유하고 있는 총 자산은 30억원 이상 50억원 미만 31%, 50억원 이상 100억원 미만 29%가 분포하고, 총 자산 중 53%는 부동산 자산이라고 응답했다.
대중부유층은 총자산 10억원 미만 구간에 절반 가량 분포하고, 자산 포트폴리오 중 부동산 자산이 차지하는 비중은 76%였다.
가구 연소득의 경우 부자들의 경우 2억원이상이 46%로 가장 많았고, 2억원이상 소득 구간에서 사업소득 34%, 근로소득 33% 재산소득 21% 순이다. 반면 대중부유층의 경우 가구 총 소득은 5000만원 이상 1억원 미만에 39%, 1억원이상 2억원 미만 구간에 33%가 분포되어 있었고, 전 소득 구간에서 근로소득 비중이 가장 높았다.
부자와 대중부유층은 은퇴 후 예상 필요 생활비(부자 월 804만원, 대중부유층 월 420만원)의 약 39%, 44%를 연금으로 충당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김창식기자 goodgo@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