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울산고용시장 한파, 땜질식 일자리로는 안된다
2021-03-17 이재명 기자
동남지방통계청의 ‘2월 울산시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울산 취업자는 55만명으로 지난해 같은달 보다 1만9000명(-3.3%) 감소했다. 이에 따라 고용률은 57.1%를 기록해 전년 같은달 대비 1.9%p 하락했다. 특히 코로나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도소매·음식숙박업 취업자는 전년동월 대비 14.9%(-1만7000명) 감소했다.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노동시장 동향’에서도 지난달 숙박·음식업 고용보험 가입자는 62만40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5만9000명(-8.6%) 줄었다. 숙박·음식업 고용보험 가입자는 지난해 5월부터 10개월 연속 감소세다.
전국적인 취업자 감소는 코로나19 사태가 시작된 지난해 3월 이후 12개월 연속으로 이어지고 있다. 취업자 감소는 외환위기 당시(1998년 1월~1999년 4월) 16개월 연속 감소한 이후 최장 기간이다. 취업자 감소와 실업자 증가는 코로나 사태의 직격탄을 맞은 자영업자의 몰락에서 비롯됐다.
그러나 보건업·사회복지서비스업(9만1000명), 공공행정·국방 및 사회보장행정(3만8000명), 농림어업(3만3000명) 등에서는 오히려 늘었다.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로 공공일자리 사업이 시작되면서 노인 일자리가 늘어났기 때문이다. 연령별로 살펴보면 20대~50대까지는 취업자가 감소했으나 60세 이상은 대폭 늘었음(21만2000명)을 알 수 있다. 이에 대해 많은 고용 전문가들은 ‘고령층 알바’라는 표현을 쓰기도 한다. 진정한 일자리가 아니라는 뜻이다.
이 가운데 수출은 빠른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2월 수출입 실적 집계에 따르면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9.5% 늘었다. 15대 주력 품목 가운데 자동차·반도체·디스플레이·석유화학 등 11개가 증가했다.
그러나 문제는 내수다. 숙박·음식점업 등 비대면 영세 자영업, 30대, 임시 일용직 등 취약계층에서 실업자는 계속 쏟아지고 있다. 무엇보다 전국적으로 청년층(15~29세) 실업률이 10.1%나 된다. 정부는 숫자를 채우기 위한 ‘고령층 알바’가 아니라 진정한 일자리를 창출해야 할 것이다.